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쾌활한이구아나273
쾌활한이구아나273

물가가 오르기만 하고 내려가지 않는 이유

예전부터 물가가 계속 증가해오고 있잖아요.

이번에는 코로나 때문에 경제가 좋지 않아지면서

물가가 또 오르고요..

그런데 상황이 나아지면 물가도 낮아져야하는거 아닌가요?

붕어빵만 봐도 옛날엔 4개 천원인데 이젠 3개천원 2개천원이잖아요.. 슬프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비상한퓨마226
      비상한퓨마226

      안녕하세요. 비상한퓨마226입니다.

      물가도 오르고. 월급도 오르잖아요?

      다만 느끼기에 월급은 제자리같지만

      결국 같이 올라왔고. 물가가 조금더

      올라야한다는게 이전 정부때 나오던 말이지만

      현정부때는 너무 올라 버렸습니다.

      인구는 늘어나고. 자원은 부족해지고

      돈은 계속찍어내는데. 돈가치가 하락하니까.

      당연히 가격이 오르면 내릴수 없겠죠?

    • 안녕하세요. 기라성입니다.

      코로나로 인해 각 국가들이 돈을 풀었습니다. 근데 돈을 풀면 원자재가 올라갑니다. 왜냐하면 원자재의 공급은 매년정해져있는데 돈이 많다보니 서로서로 더비싸게삽니다. 원자재가 올라가니 물가가 올라갑니다. 인권비도 포함하고요

    • 안녕하세요. 쿨한코끼리186입니다.

      물가가 오르는 이유는 경제 상황 등에 따라 다를 수 있겠으나, 가장 근본적인 이유를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우리가 은행에 예금을 하면 작은 금액이라도 이자를 줍니다. 예를 들어 어떤 예금의 이자가 1년에 1%라고 한다면, 100원을 예금한다고 할 때 1년 후에는 101원을 덜려 받겠지요? 이 경우 올해의 100원은 내년의 101원과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1년 동안 화폐 가치는 1%하락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은행에서 예금의 이자를 주기 때문에 화폐 가치는 계속 하락합니다. 다른 말로 하면 자산 가격이 오르는 것이죠.

      정리하면, ‘화폐 가치 하락 = 물가 상승’이 됩니다.

      결국 이자가 존재하는 한, 물가는 계속 상승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팔팔한물개1입니다.

      세금과 인건비가 한번 오르면 다시 내려가지 않기 때문에 기본적인 물가가 내려가지 않습니다

      다만 유가나 환율에 따라 움직이는 상품들은 그것에 따라 변동적으로 내려가고 올라 가기 때문에 내려갈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