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유기농누룽지
유기농누룽지23.11.12

물가는 왜 자꾸 오르기만 하고 내리진 않죠?

요즘 우리나라 물가를 보면 너무 심각한 거 같은데요 내리지는 않고 계속 오르기만 하는데 우리나라 물건은 왜 자꾸 울기만 하는 건가요 경기가 너무 안 좋은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물가 중 특히 소비재의 특징상 한 번 오른 가격은 다시 떨어지기는 어려운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 최근 물가가 상승하는 이유는 원자재 가격 상승의 이유가 있었지만, 향후 원자재가격이 떨어진다고 하여

      물가가 떨어지지는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그 이유는 계속 돈의 양 즉, 시중에 풀리게 되는 통화량이 늘어나기 때문이며, 이러한 현상은 우리나라 경제정책 자체가 '물가 희생해서라도 경제 성장을 이루겠다'는 '성장정책'에 근간을 두고 있기 때문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학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오르는 건 인플레이션이 있다는 것이고 나라에서도 어느정도의 인플레이션이 필요하다고 인정하기 때문입니다. 기본적으로 임금이 오르게되면 모든 물건에 인건비 비용이 들어가서 가격이 오르게 됩니다. 그리고 옆에 있는 일본을 보더라도 인플레이션이 없다보니 잃어버린 20년이라고 이야기할 정도로 경제성장이 없었습니다. 소비자입장에서는 물건가격 상승이 부담이지만 경제를 거시적으로 본다면 약간의 인플레이션이 있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와 같은 경우에는 늘어나는 통화량 및

    제품의 공급 등에 차질이 생겨서 오르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하방경직성이 강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저 역시 50대중반이지만 초딩때부터 좋아했던 새우깡 콜라가격 단 한번도 쉬지않고 오르기만 했습니다. 그 이유는 단한가지입니다. 화폐가치가 떨어진다는 교과서적인 답변보다는 정부가 종이돈을 담보없이 찍어내기때문입니다. 많아지면 희소가치가 낮아지면 간단한 원리입니다. 그러므로 종이돈을 벌어서 희소가치가 있는 자산으로 옮겨두어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오르는 것은 지극히 당연합니다. 우리가 월급이 올라가 듯이 물가. 또한 일정하게 올라갑니다.

    문제는 물가가 너무 급격하게 올가나는데 있습니다. 경제정책의 실패, 자연재해, 전쟁등의 이유로 최근 2~3년 사이 물가가 급격한 상승을 보이고 있습니다. 물론 코로나이후 시장의 막대하게 돈이 풀린것도 이유입니다.이로인해 인플레이션율이 올랐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은 코로나 시기에 많은 유동성공급때문이머 금리인하를 통해 조절하지만, 중동전쟁 등 불안요소가 많아 변동성이 강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물가라는 것은 상승만 하고 하락하지 않는 이유는 물가의 항목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인건비가 내려가지 않기 때문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