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별의 크기도 최대크기가 결정되어 있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별 즉 항성은 태양보다 수백배 이상 큰 항성도 있다고 들었는데요

그런데 이 별도 최대크기가 한계가 있는 구조라고 하던데요 그 이유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스티븐슨2-18 라는 항성이 지금까지 발견된 최대의 항성이라고 합니다. 태양의 100억배의 부피라고 하네요.

    별이 커지려면 주변의 그만큼 많은 물질들이 뭉쳐져야 하는데, 어느정도 한계가 있을 것 같네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별의 크기가 최대 크기를 가지는 것은 중력과 복사압의 균형이 어떻게 되냐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중력은 별 내부의 질량에 의해 중심으로 당기는 힘이며 별을 수축시키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지요~ 복사압은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면서 엄청난 에너지를 방출하고 이 에너지는 빛의 형태로 방출되어 별의 외부로 나아가면서 복사압을 형성시켜줍니다! 복사압은 중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작용되며 별이 중력에 의해 붕괴되는것을 막아주는 ㅕㄱ할을 하며 이들이 균형을 이루는 최대의 한계를 에딩턴 한계라고 이야기 합니다! 이러한 한계를 초과하면 복사압이 너무 강해져서 별의 외층이 우주로 날아가게 되며 별이 너무 커지면 중심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로 인해 복사압이 극도로 증가하고 별이 더이상 커질 수 없게 되는것이지요! 매우 큰 질량을 가진 별들ㅇㄴ 강력한 항성풍에 으해 지속적으로 질량을 잃게 되는데 별이 일정 크기를 넘어설수 없게 되는 이유이기도 하지요~ 질량의 손실은 별의 표면 온도와 밝기를 다르게 합니다! 별은 매우 커지면 불안정한 핵융합 반응이 쉽게 일어나고 불안정성은 별의 구조에 영향을 미치게하여 폭발적인 현상을 이어가게 합니다! 별은 더 이상 크기를 유지할수 업속 수축하거나 폭발하게 되는것이지요! 현재 관측된 큰 별ㅇ느 태양질량의 100~150배 정도까지 보여지고 있습니다! 이 이상이 되면 복사압과 중력의 불균형으로 붕괴하거나 질량을 잃을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날이 더워용!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시길 바랍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