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cola
cola

과학적으로 인정된 인종의 종류는 총 3가지가 맞나요?

안녕하세요.

지구에 살고 있는 인간들의 종류가 지금까지 동양인, 백인, 흑인 이렇게 3가지로 알고 있는데, 인종의 종류는 3가지가 맞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세균(박테리아)은 그람음성과 그람양성 2가지 세균으로 구분됩니다. 과학적으로 인정된 세균의 종류는 2가지로 부터 시작됩니다. 하지만 실험실에서 그람염색을 하다 보면, 분명히 그람양성인지 음성인지 애매한 애들(+-)이 존재합니다. 생명은 강물처럼 이어져서 흐르는데 사람들이 여기부터 여기까지 끊어서 분류를 하고 이름을 붙였으니 정확할 수 없습니다. 예전에는 눈에 보이는 것 만으로 구분(형태학적 분류) 하다가, 지금은 유전학적 분류를 한다고 DNA를 들이대니까.. 오랜기간 형태적으로 분리해서 잘 정리해놓은 기존의 분류체계가 위기를 맞기도 했습니다.

    유전적으로 99% 동일하니까 사람은 동일한 하나의 종이 맞습니다. 하지만 인종이라고 하는 것은 Species의 개념이 아니고 종 하위개념의 분류이니까 또 여러 종이 맞습니다. 하나의 종이면서 여러 종이 맞다고 하니까 바보같네요...ㅋ 피부색에 따른 형태적 분류로 3개 인종으로 말하고 있는데, 중간에 끼어있는 피부색(갈색, 연갈색, 연노랑, 희끄무리 죽죽..ㅋ)들이 흑인, 백인, 황색인종 사이에서 방황하기도 합니다. 피부색은 많이 차이나는데 유전적으로는 더 가까운 경우도 발생합니다. 그리고 종이든 품종이든 아종이든 격리가 유지되어야 안정이 가능한데, 지리적 격리가 무너지고 지구가 하나로 뒤죽박죽 섞이고 있으니 인종의 안정화가 점점더 어려운 방향으로 흐르고 있습니다...

    결론은 인종의 종류는 나누기 따름입니다. 목적에 따라서 더욱 디테일하게 분류해야하는 경우가 있고, 편견과 차별을 막기위해 모두 같은 것이라고 해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과학적으로 크게

    니그로 인종(아프리카, 오세아니아에 분포)의, 코카서스 인종(유럽, 서아시아, 남아시아, 북아프리카에 분포), 몽골인종(동아시아, 북아프리카에 분포) 등 3종으로 나뉩니다. 하지만 엄밀히는 더욱 많은 인종으로 나뉠 수 있으며, 3종 외에도 다른 인종도 존재합니다!

  • 인종은 과학적으로 분류하지는 않습니다.

    역사적으로 5개의 인종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 아메리칸 (아메리카)

    - 말레이 인종 (동남아시아)

    - 몽골로이드 (동/중앙/남아시아)

    - 니그로이드 (아프리카)

    - 백인 (유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