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미국의 4월 PCE가 2.7%로 발표되었는데 미국의 소비가 줄어들어서 낮아진 것인가요?

미국의 4월 PCE가 2.7%로 발표되었는데 PCE는 개인소비지출이죠

PCE지표를 보고 판단할 때

전원대비 낮아졌다는 것은

미국의 소비자들이 소비를 줄인 결과로

보는 것이 맞는건가요?

아니면 미국의 물가가 내려갔다고 평가하는 것이 맞는 건가요?

PCE가 전월대비 낮아졌다는 것은

어떤 방향으로 평가하는 것이 맞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PCE(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 개인소비지출)는 미국 상무부 산하 경제분석국(BEA)에서 발표하는 지표로, 개인이 얼마나 많은 돈을 소비했는지를 나타냅니다. 이 지표는 Personal Income and Outlays(개인소득 및 지출)에 포함되어 있으며, 가계 전체의 소비 지출을 포함하여 의료비 등 간접지출도 고려합니다.

    PCE는 소비의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며, CPI와는 달리 특정한 기준값에 대한 변동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직전 분기와 비교하여 새로운 지수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보여주는 연쇄형지수입니다. 또한, PCEPI는 미국 정부가 경제 정책을 결정할 때 인플레이션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 전월 대비 물가가 내려갔다고 하는게 가장 직접적인 것입니다.

    미국의 소비자들이 소비를 줄인것은 pce 지표가 내려간 원인중의 하나일수도 있는것이고,

    pce라는 것 자체가 물가지표이기 때문에 말그대로 물가가 내려간것이 확실한 사실인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월 대비 PCE 하락은 미국 소비자들이 소비를 줄였다는 것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소득 감소, 미래 경제 불확실성 우려, 물가 상승으로 인한 구매력 감소 등이 소비 감소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소비 감소는 기업 매출 감소, 투자 위축, 경기 침체 등 부정적인 경제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반면에, PCE 하락은 물가가 전월 대비 하락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에너지 가격 하락, 공급망 개선, 정부 정책 등이 물가 하락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물가 하락은 소비자들의 실질 소득 증가, 구매력 향상, 인플레이션 완화 등 긍정적인 경제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국의 4월 PCE 지수가 2.7%를 기록했다는 것은 미국 물가가 전반적으로 내려간 것으로 봄이 타당하다고 보여집니다.

    에너지 등을 제외한 근원 PCE는 여전히 전년 동월 대비 2.8%, 전월 대비 0.2% 상승을 기록하는 것으로 보아 미국의 물가 상승이 전반적으로 둔화된 것으로 보여집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경제 지표는2.7%로 물가 압력이 완화되었음을 보여주었습디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금리 변동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인플레이션 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에서, 근원 개인소비지출(PCE)은 이전의 0.3%에서 0.2%로 둔화되었습디다. 경제 전문가들은 근원 개인소비지출(PCE)이 0.3%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했으나, 예상보다 낮은 수치가 나왔습니다. 개인소비지출(PCE) 경제 지표의 나머지 부분은 경제 전문가들의 예상과 일치했지만, 근원 개인소비지출(PCE)이 소폭 둔화하며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더 빠르게 완화되고 있음을 나타냈습니다. 이는 연준이 금리를 더 빨리 인하할 가능성을 높였습니다

  • 질문해주신 미국의 4월 PCE가 2.7%로 발표된 것은 미국의 소비가 줄어들어서 낮아진 것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안타깝게도 직전 달에 발표된 PCE도 2.7%였고

    이번에도 2.7% 였다는 것은 미국의 소비가 줄어든 것에 대한

    흔적은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