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백신 맞았어도 주기적으로 검사해야하나요?
백신 맞아서 활동반경이 넓어진 건 좋은데 이런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많은 만큼 코로나에 걸릴 확률은 더 높아졌을 것 같아서요. 주기적으로 계속 검사하는 것이 맞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 백신을 접종해도 코로나에 감염될수 있습니다.
백신으로 생긴 항체로 감염이 되어도 몸에서 바이러스에 저항하는 힘이 생기는 것이에요.
변형된 바이러스의 경우에는 백신으로 생성된 항체가 효과가 없을수 있어요.
하지만 백신이 100%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코로나에 감염된후 바이러스가 잘 통제가 안된다면 감염력이 생길수 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감염으로 인한 부작용은 대부분 중증도로 진행이 되었을때 발생합니다.
백신을 접종하는것은 감염이 안되기 위해서라기 보다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었을시에 중증도로 진행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접종을 하는것이에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송정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백신 접종을 하는 경우 감염율을 낮출 수는 있으나 예방률이 100프로는 아닙니다. 백신 접종시에 체내 항체를 생성하기에 코로나 감염시 중증증상으로 진행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입니다.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도록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고 백신을 접종하여 바이러스에 대한 체내 면역체계를 갖추길 권장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전혜원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백신 접종 후에 이 효과로 일상생활의 범위를 늘려가고 있어서 11월부터는 위드코로나가 시행됩니다. 감염의 위험성은 계속 있긴 합니다만 주기적인 검사가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감염자와 접촉했다면 검사가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아닙니다.
일반적으로 백신접종이 완료됐다면 6개월에서 1년정도는 안전한 것으로 판단 됩니다.
코로나 증상이 있다면 검사를 받으시는 것이 맞으며,
굳이 증상이 없다면 받을 필요는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닥터최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에 노출 위험도가 높은 곳에서 자주 가셔야하거나 직업적으로 연관이 있다면 주기적으로 검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다른 경우로 밀접접촉자로 분류되거나 확진자와 접촉한 과거력이 있다면 코로나 바이러스의 잠복기는 길게는 14일까지도 가능하므로 주기적으로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창윤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 백신 맞은 경우 증상이 없다면 굳이 주기적으로 검사를 할 필요까지는 없겠습니다.
너무 걱정하시지 마시고 증상 있다면 검사 하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성윤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백신을 2차까지 완료하셨다면 주기적으로 검사할 필요는 없어보입니다.
다만 완료하시고 마스크를 쓰셨더라도 확진자와 밀접한 접촉을 했다던지 코로나 관련 증상이 있다면
돌파감염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코로나 검사를 시행하시는게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백신을 맞아도 돌파감염이 될수 있습니다.
감염되면 무증상이 30%정도를 차지합니다.
발열(37.5도 이상), 기침, 호흡곤란, 오한, 근육통, 두통, 인후통, 후각 미각 소실, 폐렴 등이 있습니다. 이외에도 구토, 오심, 설사와 같은 위장관 증상도 보일수 있습니다.
접촉력이 있다면 코로나검사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병도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백신 맞아서 활동반경이 넓어진 건 좋은데 이런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많은 만큼 코로나에 걸릴 확률은 더 높아졌을 것 같아서요. 주기적으로 계속 검사하는 것이 맞나요?
- 예 당분간은 생활방역을 하면서 주기적 검사도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정수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감염의 가능성이 없는데 주기적으로 하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만약 본인이 증상이 의심된다거나 확진자와 동선이 겹치거나(백신 접종을 했어도) 하면 선별검사를 받는 것이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검사는 필요할 때만 받으시면 됩니다. 증상이 있다거나, 확진자와 접촉이 있었거나 동선이 겹쳤을 때만 시행하셔도 무방합니다.
코로나 검사는 현재 보건소, 임시선별진료소,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서 시행이 가능합니다. 검사후 결과가 나오는 시간은 시행기관 또는 지역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24시간 이내로 나오며 길면 72시간 이내로 결과가 나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민석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백신을 접종하더라도 돌파감염의 위험이 존재하므로 마스크 착용,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방역지침을 잘 지켜야 합니다. 밀접접촉자와 동선이 겹친 경우 PCR검사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명훈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주기적으로 검사를 하면 코로나 감염 여부를 확인할수 있기에 좋긴 하겠으나 백신 접종을 완료 하였고 코로나 감염의 가능성이 낮다면 구지 검사를 주기적으로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감염 가능성이 있을 경우에 검사를 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아래 첨부한 통계를 보면 돌파감염자 비율은 10만명당
교차접종 12.6명 < 화이자 25.9명 < 아스트라제네카 87 < 얀센 153명입니다
이를 퍼센트로 환산하면
교차접종0.0126% < 화이자 0.0259% < 아스트라제네카 0.087% <얀센 0.153%입니다
무증상인경우 접종을 마쳤다면 평소 PCR검사를 권고드리지 않습니다.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백신을 맞는 경우 대부분 항체가 생성되며, 마스크를 잘 착용하고 방역수칙을 준수하게 된다면 감염될 가능성이 낮습니다.
다만 돌파감염될 가능성은 항상 존재하기에 주의하는 것은 좋으며, 감기증상이 나타난 경우라면 코로나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굳이 증상이 없다면 검사를 받지 않아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승우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일반 생활 중에 코로나 검사는 필수가 아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받으실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의심되는 증상이 있으시거나 확진자와 경로가 겹치는 등의 경우에는
검사를 받아보실 것을 권장드립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진성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 백신을 접종해도 코로나에 감염될수 있습니다.
백신으로 생긴 항체로 바이러스에 저항하는 것이지만
변형된 바이러스의 경우에는 백신으로 생성된 항체가 효과가 없을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백신이 100%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코로나에 감염된후 바이러스가 잘 통제가 안된다면 감염력이 생길수 있습니다.
코로나 증상은 일반 감기와 비슷하게 기침, 콧물, 인후통의 가벼운 증상으로 시작하여 발열, 두통, 몸살 등의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 19의 증상이 워낙 다양하여 증상만으로는 코로나 19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는 어려운점이 있습니다.
증상이 있을때는 검사도 한번 고려해보시면 될것같아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백신을 접종 받고 항체가 형성 되었더라도 돌파 감염의 가능성은 있기 때문에 접촉력이 의심되고, 증상이 있는 등 감염의 가능성이 있다면 코로나 바이러스 PCR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접촉력이나 증상이 없는데 주기적으로 검사를 받을 이유는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 감염에 대한 주기적인 검사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의심 증상이 있을 때 검사하면 됩니다. 일단 예방 접종을 완료한 경우라면 감염자와 접촉을 했다고 해도 감염률이 높지는 않기 때문에 너무 걱정하실 필요는 없다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