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누우면 머리가 어지럽습니다ㅠㅠ
며칠 전 토요일에 살짝 그랬고
오늘 12시를 조금 넘긴 새벽?에 빙빙 도는거 같아서
조금 무섭더라고요
이게 응급실 갈 일인가 싶어서 119에 문자 보냈다가
통화를 했는데
제가 목이 좀 안좋아서 차를 마신 직후였거든요(식어서 미지근했음) 근데 입안이 바짝 마르면서
그 때문인지 발음도 안되고 어눌해서
무서워서 울었는데
두통도 없고 어쩌고 뇌 문제는 아닌거 같다며 아침에 이비인후과 가래서
이석증 검사받고 왔어요
의사가 신경과 가보라는데
친구가 거기 가면 이 검사 저 검사 해야된다고 내과를 가라고 그러고
집에 누워있다가 돌아눕는데 또 띵하네요ㅠ
저 어떻게 해야되죠..
추가
이비인후과 선생님이 약 주시면서 지켜보다 가라 하셔서 신경과 아직 안간거구요
내과는 걸어서 갈 수 있는 거리
신경과는 버스 타고 좀 가야 있어요
말씀하신 양상은 전형적인 말초성 어지럼(특히 이석증 가능성)과 가장 가깝습니다. 다만 언어 어눌·입안 건조로 발음이 순간적으로 안 됐다는 부분이 있어, 안전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핵심만 정리드립니다.
1. 지금 즉시 응급 상황으로 보이는가?
두통·구토·시야 변화·한쪽 마비·계속되는 발음 이상이 없고, 어지럼이 누울 때/돌아누울 때만 심해지고 시간 지나면 가라앉는다면, 일반적으로 뇌졸중 양상은 아닙니다.
다만 발음이 어눌했던 경험은 불안 상태나 입안 건조로도 생길 수 있어 단정하기 어렵습니다. 현재도 발음이 이상한 느낌이 지속된다면 그 즉시 응급실이 맞습니다.
2. 이석증 검사 후에도 어지럼이 남는 이유
검사 날에 돌출 소견이 명확하지 않더라도, 실제로는 초기 이석증이나 경부성 어지럼(목 긴장으로 오는 어지럼)일 수 있습니다.
특히 “돌아눕거나 자세 바꿀 때만” 띵한 회전성 어지럼 → 이석증 가능성이 높습니다.
3. 어디로 가는 게 맞는가?
신경과: 어지럼의 원인을 확실히 감별해야 할 때 표준입니다. 머리 MRI까지 가야 하는 경우도 있어 과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혹시 모를 중추성 원인 배제”라는 측면에서 가장 정확합니다.
내과: 기본적인 혈액검사·혈압·빈혈·탈수 정도는 확인 가능하나 어지럼 원인 감별엔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가 신경과 추천했다면 그대로 신경과가 더 맞습니다.
4. 당장 집에서의 대처
갑자기 돌아눕지 말고 천천히 자세 전환.
고개를 뒤로 젖히는 동작 피하기.
오늘 내내 어지럼이 지속되면 응급실에서 신경과적 확인을 받아도 무방합니다.
발음 이상·얼굴 한쪽 힘 빠짐·계속되는 두통 등 새 증상 생기면 바로 응급실입니다.
5. 현재 상태에 대한 판단
말씀하신 내용만 보면 응급 상황으로 보이지 않지만, 재발하는 회전성 어지럼이 있어 신경과 진료가 권장되는 상황입니다.
신경학적 진찰
필요 시 MRI
어지럼 관련 자세검사
정도이며 신체적 부담이 큰 검사는 아닙니다.
불안 때문에 증상이 더 크게 느껴질 수도 있어 차분히 관찰하면서 움직임을 최소화하시고, 지금 발음 이상·마비·언어문제 없으면 아침에 신경과 가시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