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그리하여
그리하여

구름이 떠 있는 높이는 얼마정도 일까요?

하늘에 구름이 뭉게뭉게 떠 있는데 구름이 떠있는 높이가 어느정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떠 있는 높이가 여름과 겨울에 차이가 있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아기마법사 아하라
    아기마법사 아하라

    구름의 높이는 일반적으로 1,000m에서 12,000m 사이이며, 여름철에는 온도가 높아 뭉게구름이 2,000m에서 6,000m 정도로 더 높이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네요. 반면 겨울철에는 차가운 공기로 인해 구름이 낮은 고도에서 형성되는 경우가 많아, 여름과 겨울 사이에 구름의 높이에 차이가 있을 수 있겠습니다. 구름의 종류에 따라 높이가 달라지는 점도 고려해야 하겠습니다.

  • 구름의 높이는 종류와 계절에 따라 다릅니다. 층운형 구름은 보통 0~2km의 낮은 고도에, 적운형 구름은 2~6km의 중간 고도에, 권운형 구름은 6~13km의 높은 고도에 형성됩니다. 여름에는 기온이 높아 공기가 더 많이 상승할 수 있어 구름이 더 높은 고도에 형성되는 반면, 겨울에는 기온이 낮아 공기의 상승이 제한되므로 구름이 낮은 고도에 형성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적운형 구름은 여름에는 6~8km, 겨울에는 2~4km 고도에 형성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