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진리의 샘
진리의 샘

얼어붙은 호수 속 물고기는 왜 얼어 죽지 않는 걸까요?

얼어붙은 호수 속은 온도가 영화권일 텐데요. 사람 같으면 벌써 얼어죽었을 것 같은데, 물고기는 아무렇지가 않는 것은 어떤 원리 때문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튼튼한라마20
      튼튼한라마20

      얼어붙은 호수 속 물고기가 얼어 죽지 않는 이유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물고기의 생체 활동은 수온보다는 물의 열전달계수가 중요합니다. 물은 고유한 높은 열전달계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면에서의 온도와는 상관없이 냉수에서도 물고기가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둘째, 물고기의 몸은 냉수에 적응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물고기의 몸은 냉수에서도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혈액 내부에 특수한 화학물질이 존재하며, 특히 면역력이 강화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이유들이 모든 물고기가 얼어 죽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물고기도 여러 종류가 있고, 어떤 종류는 얼음 아래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지만, 어떤 종류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물고기가 얼음 아래에서 생존할 수 있는 기간도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얼어붙은 호수 속에서 물고기가 살아있는 것은 그 물고기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는 추운 환경에 적응한 생명체들이 살아남을 수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어붙은 호수 속에 있는 물고기들은 생존을 위해 여러 가지 방어적인 전략을 사용합니다. 물고기는 물 속에서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몸 안의 액체를 고체로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동결저항 단백질을 분비합니다. 이 동결저항 단백질은 물을 얼게 만드는 열역학적인 과정을 저해하여 얼음이 물속에 형성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물고기가 얼어 죽지 않는 이유는 물고기가 생물체에서 유일하게 수분 함량이 높은 동물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수분 함량이 높은 동물은 수분이 얼어도 그 내부의 물분자가 얼지 않고 유동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얼어붙은 호수의 물 온도는 0도 이하이지만, 물고기의 몸은 냉혹한 환경에서도 일정한 체온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체온 조절'이라고 하는데, 물고기의 몸은 주변 환경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따뜻하기 때문에 얼음 속에서도 일정한 체온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고기는 얼어붙은 호수 속에서도 일정한 체온을 유지하면서 수분 함량이 높은 몸으로 인해 물분자의 유동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얼어 죽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얼어붙은 호수 속 물고기는 호수의 얼음 아래에서 수면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따뜻한 물에 살고 있습니다. 이러한 물은 지하 수원이나 지열 현상 등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얼어붙은 호수는 얼음 아래에서 산소가 부족한 환경이 형성됩니다. 하지만 호수에 살고 있는 물고기는 호흡을 위해 물 속에서 산소를 얻습니다. 이를 위해 호수 바닥에서 상승하는 온도가 상대적으로 따뜻한 물을 만들어내며, 물고기는 이 따뜻한 물에 계속 노출되어 호흡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얼어붙은 호수 속 물고기는 얼음 아래에서 따뜻한 물에 노출되어 호흡을 유지할 수 있어서 얼어 죽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어붙은 호수 속 물고기는 물이 얼어버린 빙판 아래에서 생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물고기들은 생물학적으로 면역력과 대처 능력이 뛰어나며, 겨울철을 대비하여 생존 전략을 갖고 있습니다.

      첫째, 얼어붙은 물속에서는 수온이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그러므로 물고기는 얼음 아래의 물에서 산소를 흡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얼음 아래의 물은 상대적으로 자외선이 적어 물고기의 눈과 피부를 보호해줍니다.

      둘째, 물고기는 겨울철에 대한 대처 능력을 갖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몇몇 물고기는 겨울철에는 식욕이 감소하고,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움직임을 줄입니다. 또한, 일부 물고기는 겨울철에는 먹이를 찾지 않고 지하나 돌 암반 속에 숨어서 생존합니다.

    • 호수가 얼어도 물고기가 살아남을 수 있는 이유는 물고기의 체내에 얼음이 생기지 않고 물고기가 생존하는 데 필요한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기 때문입니다.

      물고기는 기본적으로 냉혈동물로서 물의 온도에 따라 체온이 변화합니다. 따라서, 물의 온도가 낮아져도 물고기는 자신의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호수가 얼어도 물고기는 호수의 바닥쪽에서 따뜻한 물을 찾아 이동하거나, 호수 위쪽에서 녹는 얼음 아래의 작은 구멍에서 산소를 공급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멍은 미생물, 식물 및 동물들의 대사 과정에서 생성되는 가스가 얼음 아래로 이동하면서 생기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어붙은 표면의 얼음 아래쪽으로는 4도정도의 온도로 물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이유는 물의 특성 때문인데요, 4도보다 온도가 낮아지면 오히려 비중이 낮아지며 물 위로 뜨고 그 때문에 위쪽에는 얼음이, 아래쪽에는 차가운 물이 유지되는 것입니다.

      또한 물고기는 항동결 단백질을 가지고 있어 이정도의 차가운 물에도 충분히 얼지않고 활동성만 떨어질 뿐 생활이 가능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어붙은 호수 속에서도 물고기가 살아남는 이유는 물의 특성 때문입니다.

      물은 상당히 높은 비열을 가지고 있어서, 온도 변화에 따라 많은 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은 느리게 변화하는 온도로 인해 호수 속의 물 온도가 영하로 떨어져도 물고기가 살아남을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얼어붙은 호수 속에는 얼음 아래쪽에 미세한 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이 공기구멍은 호수 속의 물과 바깥의 공기 간의 교환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로 인해 호수 속의 물은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 놓여도 물고기가 호흡을 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물고기는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너무 극한의 온도가 지속될 경우 물고기도 생존하기 어렵습니다. 물고기의 종류와 크기, 호수의 지리적 위치 등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4℃ 이하의 온도에서는 물고기도 살아남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영하의 기온에서는 물고기가 살아남을 수 있도록 호수를 관리하거나 보호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