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반듯한매미13
반듯한매미1323.01.08

신기루의 원리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사막같은데서 아무것도 없는데 갑자기 무언가 헛것이 보이는걸 신기루라고 하던데 정말 이런 현상이 있는지 어떤 원리로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신기루는 공기의 밀도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뜨거운 공기는 차가운 공기에 비해 밀도가 낮습니다.

    밀도가 차이가 생기면 빛이 굴절하게 되고,

    지면에 있는 공기로 빛이 들어올수록 위쪽에서 더 휘게 됩니다.

    이때 반대편 물체가 지면에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되는 현상이 신기루 입니다.

    예를 들어 사막에서 오아시스를 신기루로 보곤 하는데, 이것은 실제로 오아시스가 근처에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08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는 우리 눈에 들어온 빛 각도의 연장선상에 물체가 있다고 인식하게 됩니다.

    그리고 빛은 왜 휘어지고 있을까요? 바로 위아래 공기의 기온차가 나기 때문입니다.

    공기의 밀도는 온도가 높은 곳에서 작아지는데,빛은 공기의 밀도가 낮은 곳에서 빨라집니다. 그래서 빛이 진행하다 더운공기쪽에서 찬공기쪽으로 휘어지게 됩니다.

    사막의 경우 위쪽 공기가 차기 때문에 빛이 위쪽으로 휘는 방향으로 우리 눈에 들어오게 되고,그럼 우리는 물체가 상대적으로 아래에 있다고 인식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신기루의 원리 입니다.


  • 신기루는 아지랑이에서 공기의 온도차가 커지면서 신기루가 만들어지는데 신기루는 물체가 실제의 위치가 아닌 위치에서 보이는 현상으로 공기의 기온차가 크고 불안정한 대기층에서 빛이 굴절하며 만들어진다고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