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APPLEB
APPLEB

2024년 우리나라 관광수지가 100억달러 이상의 적자를 기록한 이유는 무엇때문인가요

우리나라 사람들은 정말 해외 여행을 많이 가는것 같아요 그리고 작년 관광수지가

많은 적자를 기록했다고 하는데요 왜 이렇게 많은 적자를 기록한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관광수지가 하락한 것은 일단 관광지에서 바가지를 쒸우고 있다고 생각하는 국내의 국민들이 여행지를 해외로 결정하면서 발생하는 각종 자금이 해외로 빠져나간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관광지에서의 서비스 적인 문제, 또는 가격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라고 보이며, 최근에는 각종 유튜브 등에서도 이러한 문제로 인해 특정 지역에서는 관광산업이 주로 이루는 지역이라 시청에서 점검을 하였다고 하는 글을 본적이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유입되는 관광객수요는 줄어들고 엔저현상으로 일본으로 많은 관광객이 나가고 지출이 많아지면서 수지가 악화한듯합니다.정부의 관광산업확대의지나 이벤트도 없고 관광객유치에 소홀하면서 이런문제가 발생한듯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수지 적자는 해외여행 급증에 따른 한국민들의 관광 지출이 국내에 들어온 외국인 관광객들이 지출한 것 보다 훨씬 컸기 때문입니다.

    2024년 해외로 출국한 한국인은 약2,869만명인데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한 것이니다.

    반면 외국인 관광객 수는 1,637만명으로 회복세이나 관광 수입은 약165억달러로 2019년의 80% 수준입니다.

    관광지출이 관광수입을 크게 초과한 상황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24년 관광 수지 적자는 해외여행 급증과 국내 관광 경쟁력 부족이 주된 원인이었습니다, 한국인의 해외 소비는 늘었지만, 외국인의 국내 관광 지출은 상대적으로 적었습니다. 환율, 물가도 영향을 미쳐 100억달러 이상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 관광지수가 100억달러 이상 적자를 기록한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2024년 우리가 큰 적자를 본 것은 결국

    그 만큼 많은 이들이 여행을 해외로 나갔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관광수지가 적자라는 얘기 들으면 감이 안 올 수도 있는데 쉽게 말하면 나간 돈이 들어온 돈보다 훨씬 많았다는 뜻입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해외여행을 워낙 자주 가면서 현지에서 쓰는 소비 규모가 커졌습니다. 반대로 외국인이 우리나라에 와서 쓰는 돈은 상대적으로 적었다고 합니다. 특히 일본이나 동남아로 짧게 다녀오는 여행객이 늘면서 항공권 결제와 현지 소비가 크게 증가했는데 이게 통계에 바로 반영됩니다. 또 환율 영향도 있어 원화 약세로 해외 지출이 더 비싸게 잡히는 효과가 생겼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관광 지출이 264억9250만달러(약 38조7000억원)를 기록하며 적자 규모가 확대된 것인데요. 그리고 면세점 매출 저하와 크루즈 여행객의 짧은 체류기간, 국내에 입국한 해외여행객 중 크루즈 여행객이 늘어난 점 등이 적자에 원인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코로나 이후 막혀 있던 해외여행이 완화되면서 한국인이 대규모 해외여행을 재개, 해외에서 지출하는 비용이 크게 늘어난 것이 가장 큰 요인입니다. 또한 원화 약세로 인해 해외여행 비용 부담이 상대적으로 낮아져 해외 소비가 증가하는 경향이 커진 것도 원인 중에 하나로 볼 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코로나19이후 해외 소요가폭발적으로 증가한 반볍 우리나라의 외국인 관광객은 상대적으로 느리게 회복되고있습니다. 특히 일본의 경우 제엔화 영향으로 수요가 증가하면서 가장 많은 적자를 보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