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23.05.21

고려 초기부터 있던 승록사라는 관청은 어떤 사람들이 등용되었나요?

고려 초기부터 승록사라는 관청을 두고

불교 행사를 관장하게 하였다고 하는데

승록사에 임명된 관리들은

불교에 대해 잘아는 승려들을 위주로

등용하여 관리했던 건가요?

아니면 승려가 아닌 일반 관리들을 등용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21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 불교의 제반 사무를 맡아보기 위하여 중앙에 설치되었던 관서입니다.

    변천과 현황

    938년(태조 21) 서천축국승(西天竺國僧)이 왔을 때 왕이 승록사의 좌우보서인 양가(兩街)와 함께 맞이하였다는 기록에 의하여 이 제도가 태조 때부터 있었음을 알 수 있지만, 제도의 정비는 승과(僧科) 및 법계제도(法階制度)가 확립되던 고려 초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의 승록사는 당나라와 송나라의 승록사제도와 신라의 중앙승관제도(中央僧官制度)를 토대로 성립되었다. 승록사는 좌우양가(左右兩街)로 구분되어 있었고, 그 직제는 다음과 같다.

    좌가(左街): 도승록(都僧錄)-승록(僧錄)-부승록(副僧錄)-승정(僧正)-승사(僧史)

    우가(右街): 도승록(都僧錄)-승록(僧錄)-부승록(副僧錄)-승정(僧正)-승사(僧史)

    이 직제는 높은 직위로부터 낮은 직위의 차례로 정리한 것으로 법계에 따라 다른 직제를 맡았다. 승록사에는 좌우양가 이외에 이를 총괄하는 좌우양가도승통(左右兩街都僧統)이라는 직제가 있었다.

    승록사의 기능은 국사(國師)와 왕사(王師)의 책봉의식(冊封儀式)에 관한 서신(書紳)을 전하거나 하산(下山) 때에 배행하고, 입적(入寂)하였을 때 상사를 처리하며, 비를 세울 때 관여하는 등 불교계의 중요 의식이나 행사를 주선하는 구실을 담당하였다.

    또한, 승적을 맡아 승려를 등록하고 정리하는 일도 맡았다. 대개 교단과 정부의 행정적 협력기구로서의 기능, 또는 불교계의 운영에 대한 국가의 정책 수행에 대한 보조임무를 담당하였다.

    원간섭기에 이르러 승록사는 불교의 승정(僧政)에 깊이 관여하였다. 자정국존(慈淨國尊) 미수(彌授)가 1313년(충선왕 5) 양가도승통을 맡아 오교양종(五敎兩宗)의 주지를 공의(共議)하는 직무를 맡았던 것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승록사제도는 조선 초기까지 존속하였다. 1405년(태종 5) 육조의 분직(分職)을 정할 때 승록사는 예조에 부속되었고, 1424년(세종 6) 불교를 선교양종(禪敎兩宗) 36사(寺)로 폐합할 때 폐지되었다. 당시 승록사에 예속되어 있던 노비는 선교양종의 도회소(都會所)와 동서부학당(東西部學堂)에 분속시켰다.

    [네이버 지식백과] 승록사 [僧錄司]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승록사에서는 일반 관원과 승계를 가진 승관이 함께 근무했는데 승관은 승과 합격자 중 임명했습니다. 승록사의 승관으로는 고려시대 초기에는 승총, 승유 등이 있었고 11세기 무렵부터 도승통을 최고 책임자로 그 아래 좌, 우가 도승록-승록- 부승록-승정-승사-기사 등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고려시대 말기 양가도승통, 양가도총섭, 오교도승통, 선교도총섭 등의 승직이 제수되는 등의 변화가 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승려들뿐만아니라 승과에 합격한 사람들도 승록사에 일할수있는 관직을 받았습니다.



  • 고려 초기부터 승록사는 불교 행사를 관장하는 관청으로 활동하였습니다. 승록사에 임명된 관리들은 주로 불교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있는 승려들이었습니다. 이는 승록사의 역할과 성격에 부합하는 인재를 등용하여 관리하고자 한 결과입니다.

    승록사는 불교 행사를 주관하고 기획하며, 승려들의 교육과 훈련을 감독하는 역할을 맡았습니다. 따라서 불교 경전의 해설, 불교 교리의 전파, 그리고 불교 제례와 의식의 진행 등을 담당하는 승려들이 승록사에 임명되었습니다. 이들은 불교 교리와 의식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갖추고 있었으며, 불교 신앙과 관련된 사항을 관장하고 집행하는 데에 적합한 인재로 선택되었습니다.

    승록사의 관리들은 불교 경전의 학문적 연구, 성서의 번역과 해석, 불교 교육과 지도, 그리고 불교 제례와 의식의 집행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였습니다. 이들은 승려로서의 신분과 지식을 바탕으로 고려 시대의 불교 사회와 문화를 조직적으로 관리하고 발전시키는 역할을 담당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