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께서 쥐젖도 옮는다는데.쥐젖도 옮나요?
어머니께서 쥐젖도 옮는다고 하시던데요 쥐젖이 옮는병인가요? 쥐젖은 꼭 치료를 해야하나요? 병원에가지 못할경우. 집에서 본인이 스스로 쥐젖크림같은것 발라서 떼어내면 위험할까요? 치료는 오래걸릴까요.쥐젖이 안나게 예방하는 방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쥐젖의 바른 명칭은 연성섬유종이며 발생 원인은 불분명하나 감염성은 없습니다. 감염성을 의심한다면 HPV로 인한 곤지름이나 사마귀를 의심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일반적으로 큰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는 드물지만 저절로 사라지지는 않으므로 미용상의 이유로 제거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피부과에 내원하시어 레이저나 냉동치료등으로 제거하시는 방법이 있으니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아직 명확한 원인이 밝혀진것은 아니지만 아직 전염에 대한 증거는 없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피부의 쥐젖은 피부 세포가 분열하는 과정에서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발생하면서 기형적인 형태의 병변이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전염성 질환이 아니기 때문에 타인에게 옮기지 않습니다. 또한 양성이기 때문에 특별히 치료를 요하거나 하지는 않으며 외관상 보기 싫을 경우에는 피부과에서 절제술이나 레이저로 제거하실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피부과 전문의 노동영 의사입니다.
쥐젖 때문에 신경이 쓰이시군요.
쥐젖(skin tag)은 피부에 생기는 작은 양성종양으로 보고 있습니다.
보통은 노화현상으로 여성의 목쪽에 가장 호발합니다. 겨드랑이나 사타구니에도 호발합니다. 그 자체가 전염력이 있는 건 아니지만 당연히 목의 다른 부위에 노화현상으로 새롭게 발생할 수 있으며, 환자들은 이것을 '번진다'라고 얘기하는 거죠.
쥐젖은 보통 레이저로 제거를 하며, 이론적으로는 재발하는 질환은 아닙니다. 다만 지속적인 노화현상으로 다시 새로운 병변이 생길 가능성은 충분히 있습니다.
쥐젖과 감별해야 할 질환은 편평사마귀입니다. 편평사마귀는 쥐젖과 비슷하게 생길 수 있으나 바이러스 질환이기에 그 자체가 전염성이 있습니다. 즉 하나를 치료하지 않고 두면 주변으로 퍼질 가능성이 있는 병변이라는 것이죠. 치료는 쥐젖처럼 레이저로 제거할 수도 있고, 냉동치료를 하기도 합니다.
모두 피부과에서 감별이 가능하고 치료가 가능하지 피부과에서 꾸준한 치료를 받으시길 권해드릴게요~
답변이 되셨나요?
질문자님의 적극적인 답변 추천, 좋아요 그리고 채택은 저희 답변자들에게도 긍정적인 피드백이 됩니다. 도움이 되신 답변에는 긍정적인 반응을 많이 해주셔서 앞으로 더 좋은 답변이 순환되게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쥐젖은 전염성이 없습니다.
쥐젖은 크기가 1mm에서 수 cm에 이르는 부드러운 섬유상피 용종(폴립)입니다. 이는 물렁섬유종, 피부폴립 등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쥐젖은 양성 종양이므로 미용적인 측면 외에 별다른 문제가 없습니다.쥐젖의 발생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습니다.
쥐젖은 당뇨병이나 임신과 연관되어 생길 수 있습니다. 피부과에서 레이져로 제거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