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개는 왜 반원으로 보이나요?
오늘 아침에 차를 몰고 출근하다가 무지개를 봤습니다.
어릴때부터 봐온 무지개이지만 오늘 문득 무지개는 왜 반원모양으로 나타날까 궁금하더라구요.
왜 그런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가 반원으로 보이는 이유는 공기중의 물방울에 의해 태양빛이 굴절되면서 경로차에 따라 빛이 분산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원래는 원형인데 땅에서는 지표면에 가려지는 부분이 있어 반원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그럼 깊이있는 질문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물방울에 반사된 빛은 원뿔모양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보는 무지개개 반원인 이유는 나머지 부분을 지면이 가리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는 반원 모양으로 보이는 이유에는 광학적인 현상이 관련되어 있습니다. 무지개는 태양 빛이 빗물 방울에 닿고 굴절, 반사, 파장 분산 등의 과정을 거쳐 형성됩니다.
태양 빛은 빗물 방울에 들어가면 굴절됩니다. 이때 빛은 다양한 파장을 가지고 있으며, 파장에 따라 굴절 정도가 다릅니다. 빛이 빗물 방울 내부에서 굴절되고 나와 다시 방울의 뒷면에서 반사되면서 파장에 따라 다른 각도로 굴절됩니다.
이렇게 다양한 파장의 빛이 반사와 굴절을 거치면서 분산되고, 이때 각 파장의 빛이 서로 겹쳐지면서 무지개가 형성됩니다. 빛이 분산되고 반사되는 과정에서 파장에 따라 각도가 다르게 굴절되기 때문에, 다양한 색상의 빛이 반원 모양으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가 반원 모양으로 나타나는 이유는 태양이 관찰자의 뒤에 있고, 물방울이 관찰자의 눈과 태양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입니다. 태양빛이 물방울에 부딪혀 굴절되고 반사되면서, 관찰자의 눈에 도달하는 빛은 42도 각도에서 굴절된 빛입니다. 따라서, 관찰자는 42도 각도 안에 있는 물방울에서만 무지개를 볼 수 있습니다. 만약, 관관찰자가 하늘 위에 서 있다면, 무지개는 원형으로 나타납니다. 하지만, 관찰자가 지표면에 서 있으면, 지표면이 무지개를 가려서 반원 모양으로만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