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자기주도 프로젝트, 자기성찰 시간을 어떻게 가져야 할까요?

자기주도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제 스스로 얼마나 성장했는지, 앞으로 어떤 부분을 더 개선해야 할지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자기성찰 시간을 가지려고 하는데... 막상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합니다ㅠㅠ... 혹시 자기주도 학습이나 프로젝트 경험이 많으신 분들께서 자신만의 자기성찰 방법이나 팁을 공유해주실 수 있을까요? 구체적인 질문 리스트나 성찰 일지 작성법, 혹은 유용한 자료가 있다면 더욱 감사하겠습니다... 객관적인 시각을 유지하면서, 프로젝트의 성공과 실패 요인을 분석하고, 개인적인 발전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조언을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자기주도 프로젝트를 통해 얻은 교훈을 명확히 하고, 다음 프로젝트에 적용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자기성찰 방법을 알려주세요... 경험자분들의 소중한 의견을 기다립니다... 도와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천지연 보육교사
    천지연 보육교사
    어울누리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자기주도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본인의 평가를 하고자 한다면

    표를 작성을 해보도록 하세요.

    그리고 표를 작성 했다면 그 안에 준비과정. 재료. 목표. 추구방향. 참여도를 기입하고 점수를 매겨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를 토대로 자신의 객관적 평가를 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러한 평가를 통해 좋았던 점, 부족했던 점, 보안했던 점을 추가적으로 계획을 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자기 성찰을 할 때는 객관적이고 사실을 기반으로 분석을 해야 합니다.

    해당 목표를 달성하였는지, 성과는 어떠하였는지, 부족했던 점은 무엇이었는지, 어떻게 보완을 해야 할지

    가능하면 정성적인 지표보다는 정량적으로 수치화 하여 나타내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자기성찰에는 3단계 일지법이 효과적입니다. 첫째, 무엇을 했는가?, 둘째, 무엇을 느끼고 배웠는가? 셋째, 다음엔 어떻게 할것인가? 입니다. 주 1회 성찰 루틴을 만들면 지속성도 높아집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타인에게 많이 보여주고 발표하면서 그에 맞는 피드백을 꾸준히 받는것이 가장 좋은 발전의 지름길이 될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1. 자기성찰은 무엇을 했고, 왜 그렇게 했으며, 그리고 결과는 어떠했는지를 스스로에게 묻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2.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먼저 사실을 기록하기 - 감정과 생각을 정리하기 - 배운 점과 개선해야 할 점을 찾아보기를 바탕으로 (3단계) 꾸준히 실천하는 걸 추천 드립니다.

    3. 성찰은 비교가 아닌 과거의 나와 마주하는 과정임을 기억하면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해나가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