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느낌의 그림자
느낌의 그림자

가을에는 하늘이 높아 보이는 과학적 이유는 무엇일까요?

가을이 되면 하늘이 더욱 파랗게 변하고 높아지는 것처럼 보입니다. 구름도 하늘에서 잘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요. 하늘이 높아 보이는 과학적 이유는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가을에는 습도가 낮으면서 공기중의 수분이 적어지고, 태양빛의 산란이 적어지면서 더 파랗게 보일 수 있다고 합니다. 하늘이 파랗게 보이면서 좀 더 높아보일 수 있을 거 같네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가을에는 대기의 습도가 여름보다 낮아지고 여름철에는 습도가 높아 공기 중에 수증기가 많고, 이는 빛을 산란시키거나 흡수하는 역할을 하여 하늘이 약간 뿌옇게 보이게 만듭니다. 반면 가을에는 공기가 건조해지기 때문에 대기가 더 맑고 투명해지며, 하늘이 더 높고 맑게 보이게 되는 것이지요~ 가을철에는 고기압의 영향으로 맑은 날씨가 많아지고, 구름이 적게 형성되고 하늘에 구름이 적을수록 하늘이 더 넓고 높게 보이는 효과를 나타내게 하지요~ 가을에는 기온의 변화로 인해 대기가 더 안정된 상태가 되고 여름철에는 지표면이 뜨겁게 가열되면서 대류 현상이 활발해지고, 이는 구름 형성과 대기의 불안정성을 증가시키게 하는 것이죠. 그러나 가을에는 지표면의 온도가 낮아지면서 대류 현상이 줄어들고, 대기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하늘이 더 맑고 파랗게 보이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