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반려동물

반려동물 건강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

중성화 수술해도 길고양이가 늘어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나이
성별
몸무게
반려동물 종류
고양이
품종
중성화 수술

아파트 단지 안에 있는 길고양이를 신고하면 중성화 수술을 해 주는데요, 지속적으로 중성화 수술을 하는데도 길고양이의 숫자가 오히려 늘어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석 수의사입니다

    중성화 수술을 모든 길고양이 에게 한꺼번에 한다면 가능하겠지만 길고양이의 10퍼센트도 중성화 수술이 안된상황이라 개체수는 계속 늘어가는 중이에요.

  • 안녕하세요. 박예찬 수의사입니다.

    TNR사업은 고양이를 포획해서 중성화 후 풀어줘서 어떻게 보면 일부 개체수의 번식을 차단하기 위한, 동물복지를 위한 그런 정책인데요 예전부터 말이 많았고 대한민국뿐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도 고양이 개체수 조절을 위해 시행했는데 다 실패한 정책으로 철회하는 중입니다. 대표적으로 호주 일본이 있습니다.

    TNR 사업이 성공하려면 해당 지자체에서 고양이 개체수 75%를 포획해야하는데 그것은 불가능 그자체이고 그런 수술을 할 인력인 수의사도 턱없이 부족하고 예산도 없습니다.

    수의사의 경우 일반 가정집에 있는 중성화수술하면 45~100정도 받는데 고양이는 수컷은 10 암컷은 20이고 이런 수술할 마취약 조차 정부에서 지원 하지 않는데 나서서 할 사람 아무도 없습니다. 그 시간에 쉬거나 귀중한 손님 강아지 고양이 진료 보는게 더 낫죠

    오죽하면 호주나 일본의 경우 길고양이 살처분정책까지 내새워서 매해 200만 마리씩 살처분할 정도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경민 수의사입니다.

    고양이는 한번 번식으로 2~13마리까지의 새끼를 낳습니다.

    아무래도 고양이들은 야생에서 적응하여 잘 살아남는 편이며

    번식 개체수가 많아서 그런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고양이의 생활반경이 5km내외로 짧은 편이나

    고양이들은 먹을것이없으면, 다른 지역이나 도시로 이동하여 생활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아 수의사입니다.

    제대로 중성화수술을 해줬다면 개체수가 이전보다는 많이 줄었을 것입니다. 생식 가능한 수컷과 암컷이 많이 줄어들기 때문에 새끼가 태어날 수 없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

    중성화 수술을 하여 번식제한을 주는 속도가 늦어서 그렇습니다.

    즉, 중성화 수술을 시키는 속도를 높여 번식 속도보다 빨리 중성화 수술을 시켜주면 개체수는 점차 감소하게 됩니다.

    https://diamed.tistory.com/659

    자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