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이 간혹 대량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한 종의 곤충이 대량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우리나랑에서도 하늘소나 대벌레가 대량 발생하여 문제가 된 적이 있었고 외국에서는 메뚜기가 대량 발생하는 경우도 종종 있는데요. 곤충이 간혹 대량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많은 곤충들은 다양한 위협을 받으며 성체까지 자랄 확률이 매우 낮습니다.
그래서 이런 곤충들은 알을 많이 낳는 전략을 택합니다.
대벌레의 경우 환경이 좋으면 암컷만으로도 알을 낳을수 있고
기후가 좋을때마다 10개정도의 알을 계속 낳으며 결국 한마리가 600~700개의 알을 낳습니다.
하늘소도 보통 50~250개 이상의 알을 낳습니다.
원래라면 이들 중 대부분은 부화하지 못하고 죽거나 부화하더라도 성체까지 살아남지 못하고 죽게됩니다.
하지만 겨울이 따뜻하여 부화율이 높아지고, 기후와 먹이 같은여러가지 환경조건이 좋으면 생존률이 올라가는데,
결국 많이 낳은 알에서 많은 개체가 성체가 되기 때문에 그 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게됩니다.
곤충이 대량으로 발생하는 현상, 종종 '대발생'이라고 불리는 이 현상은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연적인 포식자의 부재 또는 감소는 특정 곤충 종의 개체 수가 컨트롤 없이 증가하는 것을 허용합니다. 천적이 없거나 그 수가 적어지면, 곤충은 더 빠르고 많이 번식할 수 있습니다. 또,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생태계 변화, 예를 들어 삼림 벌채, 농지 개발, 도시화 등은 곤충의 서식지와 생활 패턴을 변화시키며 이는 종종 대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곤충이 간혹 대량으로 출몰하는 이유는 곤충이 생존, 증식하기 위한 환경 조건이 만족되었기 때문입니다. 과거에 하늘소가 서울에 다량 출몰한 원인은 온난해진 '기후 변화'로 인해 다량으로 번식 가능한 환경이 조성되었기 때문입니다. 홍성철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원에 의하면 하늘소는 따뜻한 기온에 잘 번식하는데, 기생할 수 있는 참나무 목재가 북한산에 있어 인근 도시에서 목격되고 있는 걸로 보이는 것이라고 설명한 바 있습니다.
곤충이 간혹 대량 발생하는 주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기후 변화와 이상 기온 현상입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온 상승은 곤충의 서식지 확장과 번식 주기 단축을 가져와 개체수 증가를 부채질합니다. 또한 이상 고온이나 건조한 환경에서 곤충의 천적 감소로 개체수가 급증할 수 있습니다.
둘째, 인위적인 생태계 교란입니다. 산림 벌채, 농약 과다 사용 등으로 인해 곤충의 천적이 감소하거나 서식지가 파괴되면 일시적으로 개체수가 늘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외래 곤충 종의 유입으로 생태계 균형이 깨져 특정 곤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기도 합니다.
셋째, 곤충 자체의 생리적 특성입니다. 메뚜기, 잎벌레 등 일부 곤충은 과밀 환경에서 개체군 폭발이 일어나는 생식 전략을 가지고 있어 대량 발생이 가능합니다. 이는 식량 확보와 생존을 위한 진화의 산물입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때때로 곤충 개체수가 급증하게 되는데, 이는 농작물 피해, 산림 훼손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기후 변화가 대량 발생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기온, 강우량, 습도 등이 적절하게 조합되면 곤충의 번식과 생존에 이상적인 환경이 조성되어 대량 번식이 가능해질 수 있습니다.
천적의 부재가 대량 발생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천적이 부족하면 곤충의 증식을 억제할 수 없어 대량 번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