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초안산고양이
초안산고양이23.02.28

북한의 독립운동가에 대하여 알려주세요.

우리나라의 독립운동가들은 많이 알려져 있는데요. 예전 북한 출신의 독립운동가. 혹은 북한에서 활동하였던 독립운동가는 누구인가요? 그리고 그분들의 위상은 현시점 북한내에서 어느정도의 대우를 받고 있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두봉(金枓奉, 1889년 2월 16일 출생 ~ 1960년 4월 4일?[1] 사망 추정)은 공산주의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한글학자(일제 시대 독립운동가, 교육자, 작가, 언론인, 정치인)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경상도 기장현(現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출생이다. 본관은 김해(金海), 호는 백연(白淵)·백련(帛連)이며, 별명은 태항산의 호랑이였다.[2]

    구한말기에는 한글학자 주시경의 수제자로 유명했다. 일제강점기 시절 중국으로 망명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잠시 활동하였다. 일제강점기의 한글 사전인 《조선말본》과 《깁더 조선말본》의 저자였으며, 《말모이》의 공저자 중 한 사람이다.

    중국에서 학자 활동과 무장투쟁 활동을 하다가 1935년 김규식, 김원봉 등과 함께 민족혁명당을 창당 조직하였다. 1940년 이후 화북으로 가서 조선독립동맹의 주석으로 추대되었고, 광복 뒤에는 38선 이북으로 귀환, 1948년 4월의 남북협상에 참여하였고 북한의 인민위원회 상임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1946년 10월부터 1948년 9월까지 김일성종합대학의 초대 총장이기도 하다. 1950년 한국전쟁 당시 서울이라는 곳은 조선의 심장부이니 우리 몸에 심장보다 중요한 곳은 없으니 심장을 장악하고 8월까지는 기어코 통일 정부를 구성하자며 김일성이 한국 전쟁을 일으키는 데 동조했다. 그러나 1958년에는 김일성과의 권력 투쟁에서 패하며 숙청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정확한 사망 시점은 미상이다. 위상 부분까지는 명확한 파익이 힘드네요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립유공자로 서훈을 받은 최효일·최윤근 두 명이 그곳에 묻혀 있다. 애국열사릉의 독립운동가는 약력에 ‘반일애국지사’(6명), ‘애국지사’(8명), ‘항일혁명렬사’ 등으로 표기되어 있다. 그 중 독립유공자로 서훈을 받은 ‘반일애국지사’는 오동진·장철호·강제하·김보안(이명 김준택) 등 4명이며, ‘애국지사’는 6·25전쟁 당시 납북된 김규식·유동열·오하영·윤기섭·조완구·최동오·엄항섭·조소앙 등 8명이다. ‘항일혁명열사’는 모두 64위가 있지만, 독립유공자로 서훈을 받은 인사는 한 명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