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스포츠·운동

야구

강원도의빠워
강원도의빠워

야구용어중에 세이버 매트릭스가 무엇인가요?

프로 야구의 분석관련 해서 세이버 매트릭스라는 타율중심으로 야구를 짜고 분석하는 개념이 있던데 이 세이버 매트릭스의 개념이 뭔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충분히미소짓는삼계탕
    충분히미소짓는삼계탕

    야구 용어 중에서 세이버 매트릭스가 무슨 의미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야구에서 세이버 매트릭스는 야구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선수의 능력과 성과를 평가하는 방법론이라고 합니다.

    세이버 매트릭스 지표는 WAR, WOBA, BABIP, OPS, FIP, UZR 등이 있습니다.

  • 세이버 매트릭스는

    야구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선수의 능력과 성과를 평가하는 방법론입니다.

    선수가 얼마나 출루율의 기회를 얻었는지도

    포함이 됩니다.

  • 세이버매트릭스는 야구에서 선수의 경기력과 팀의 전략을 통계학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기존의 단순한 전통 지표에만 의존하기보다는, 선수의 실제 기여도와 효율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발전한 분석 체계입니다. 이 용어는 미국야구연구협회에서 유래하였으며, 다양한 수학적 모델과 통계 기법을 바탕으로 선수의 능력을 수치화합니다.

    세이버매트릭스에서는 OPS, WAR, BABIP, FIP, wOBA와 같은 다양한 지표들을 활용하여 타자와 투수의 퍼포먼스를 여러 관점에서 평가합니다. 예를 들어 OPS는 타자의 공격력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이며, WAR는 해당 선수가 평균적인 대체 선수에 비해 팀 승리에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수치로 나타냅니다. BABIP는 인플레이 타구에서의 타율을 통해 운의 영향을 분석하고, FIP는 수비력을 배제하고 투수의 순수한 능력만을 평가합니다. wOBA는 출루 방식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타자의 생산성을 보다 정밀하게 분석하는 지표입니다.

    이러한 지표들은 구단이 선수 평가, 영입 전략, 연봉 협상 등을 보다 정확하게 진행하는 데 도움을 주며, 감독이나 코치가 경기 전략을 수립할 때에도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팬들 역시 세이버매트릭스를 통해 선수의 성과를 보다 객관적으로 해석하고, 경기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세이버매트릭스(Sabermetrics)는 야구 경기에서 수집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통계학적, 수학적 방법론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해 선수 및 팀의 성적을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평가하며 예측하는 분석 방법론입니다.

    어원은 SABR (Society for American Baseball Research): 미국 야구 연구 협회의 약자로, 세이버메트릭스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한 단체입니다.

    초기 세이버메트릭스는 이 협회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연구되었습니다.

    Metrics/Metrician: 측정 기준 또는 측정 전문가를 의미

    즉, 세이버메트릭스는 미국 야구 연구 협회의 연구를 기반으로 야구의 다양한 측면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세이버메트릭스의 목표:

    선수 가치 평가의 객관성 확보: 기존의 타율, 홈런, 타점, 방어율 등 전통적인 기록 외에 출루율, 장타율, 조정OPS (OPS+), 대체 선수 대비 승리 기여도 등 더 세밀하고 상황적인 요소를 반영하는 지표들을 활용하여 선수의 실제적인 가치를 정확하게 평가하고자 합니다.

    팀 운영 효율성 증대: 선수 영입, 트레이드, 연봉 협상, 라인업 구성, 투수 교체 등 팀 운영의 다양한 측면에서 데이터에 기반한 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줍니다.

    경기 분석의 심층화: 단순히 결과만 보는 것이 아니라, 경기 과정과 선수들의 세부적인 움직임을 분석하여 승패 요인을 파악하고 미래 경기 전략 수립에 활용합니다.

    세이버메트릭스의 주요 지표:

    타자:

    출루율 (OBP, On-Base Percentage): 타자가 타석에서 아웃되지 않고 베이스를 밟는 비율 (안타, 볼넷, 몸에 맞는 공 포함).

    장타율 (SLG, Slugging Percentage): 타자의 순수 장타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 (루타수 / 타수).

    OPS (On-Base Plus Slugging): 출루율과 장타율의 합으로, 타자의 공격 생산성을 간편하게 나타내는 지표.

    OPS+ (Adjusted OPS): OPS를 리그 평균과 구장 효과를 고려하여 조정한 지표. 100을 기준으로 높을수록 리그 평균보다 뛰어난 타자.

    wOBA (Weighted On-Base Average): 각 타구 결과를 가치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계산한 출루율과 유사한 지표.

    wRC+ (Weighted Runs Created Plus): wOBA를 바탕으로 타자가 얼마나 많은 득점을 생산했는지 리그 평균과 구장 효과를 고려하여 조정한 지표.

    WAR (Wins Above Replacement): 해당 선수가 대체 선수 대비 팀 승리에 얼마나 기여했는지 나타내는 종합적인 지표 (타격, 주루, 수비, 포지션 가치 등을 종합).

    투수:

    * FIP (Fielding Independent Pitching): 수비의 영향을 받지 않는 투수의 순수한 능력 (삼진, 볼넷, 몸에 맞는 공, 피홈런)으로 평가하는 지표.

    ERA+ (Adjusted ERA): 평균자책점을 리그 평균과 구장 효과를 고려하여 조정한 지표. 100을 기준으로 낮을수록 리그 평균보다 뛰어난 투수.

    WHIP (Walks plus Hits per Inning Pitched): 투수가 이닝당 허용한 볼넷과 안타의 합계로, 투수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

    K/9 (Strikeouts per 9 Innings): 9이닝당 삼진 개수로, 투수의 삼진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

    WAR (Wins Above Replacement): 투수가 대체 선수 대비 팀 승리에 얼마나 기여했는지 나타내는 종합적인 지표 (수비 무관 자책점, 수비 의존 자책점, 레버리지 등을 종합).

    수비:

    * UZR (Ultimate Zone Rating): 수비수가 특정 수비 위치에서 얼마나 많은 실점을 막았는지 평가하는 지표 (수비 범위, 에러, 어시스트 등을 종합).

    * DRS (Defensive Runs Saved): 수비수가 평균적인 선수 대비 얼마나 많은 실점을 막았는지 누적하여 나타내는 지표.

    요약하자면, 야구에서 세이버메트릭스는 통계학과 수학적 분석을 통해 야구의 다양한 데이터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예측하는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출처- 위키

  • 세이버 매트릭스는 야구의 기록을 통계학적 방법론과 게임이론을 통해 접근하는 방식을 말합니나.

    기존 야구 기록이 부실한 부분을 보완하여 싄수의 가치에대해 다각도로 살펴보는 이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