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로고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21

먹구름은 어떻게 해서 검은색이 되는건가요?

보통 하늘을 보다보면 구름색깔이 하얀색인데 비가 올때나 날이 흐릴때보면 먹구름이 끼는데 과학적으로 먹구름이 어떻게해서 끼고 검은색으로 보이게되는건지 궁금하게되었습니다.

먹구름에 대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검붉은코뿔소 34
    검붉은코뿔소 3423.06.23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 내부에 수분이 함유량이 많아질수록 빛을 통과하지 못하여 상대적으로 구름이 어둡게 보이게 됩니다.

    바로 이 상태가 육안으로 보이는 먹구름의 형태가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먹구름이 어두운 이유는 구름속에 많은 물방울이 있어서 그렇습니다 구름내에 물방울이 적을경우 햇빛이 구름속에서 산란되어 하얗게 보이지만 물방울이 많으면 햇빛이 구름을 통과하지 못하고 흡수되어 어둡게 보이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오기직전의 먹구름은 매우많은 수증기를 머금고있고, 구름자체가 두꺼워 상공의 태양빛이 구름을 투과하지못해 구름 아래 그림자가 지게됩니다.

    이 그림자를 보고 우리는 검은구름이라고 생각하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이라는 것은 수증기가 증발해서 모인 것인데요, 높은 구름은 그만큼 수증기의 양이 적기 때문에 가볍고 동시에 그만큼 빛의 투과율이 높습니다.

    그래서 하얗게 보입니다.

    그러나 먹구름은 많은 양의 수분을 포함하고 있어서 무거워집니다.

    그러니 흰구름에 비해서 고도가 낮지요. 또한 수분, 즉 작은 물방울을 그만큼 많이 포함하고 있으므로 빛을 투과하기 보다는 산란을 많이 시킵니다.

    그러니 어두워보일 수밖에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먹구름이 검은색이 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그 구름 내부에 있는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이 매우 커져서, 빛을 흡수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빛이 흡수되면, 구름이 어둡게 보이고 검은색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먹구름이 많은 지역에서는 강한 비와 폭우, 강풍, 뇌우, 번개 등의 기상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물방울과 얼음 결정이 서로 충돌하면서 전기적인 충전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 먹구름은 높은 수증기 함량을 포함하고 있어 수증기 분자가 빛을 흡수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수증기는 빛의 일부를 흡수하여 에너지로 전환합니다. 이로 인해 구름이 빛을 통과시키지 않고 흡수하는 경향이 있어 더 어두워 보입니다.

    먹구름은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작은 입자들은 빛을 산란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산란은 빛을 다양한 방향으로 흩뿌리는 현상이며, 먹구름의 작은 입자들이 빛을 여러 방향으로 산란시키기 때문에 먹구름이 어두워 보이는 것입니다.

    먹구름은 일부 빛을 흡수하고 산란시키지만, 여전히 일부 빛은 구름을 통과할 수 있습니다. 이 투과된 빛 중에서는 주로 파장이 긴 적색과 주황색 빛이 통과하게 되는데, 이러한 색상의 빛이 구름을 통과하면서 먹구름이 붉은 또는 주황빛을 띠게 됩니다.

    이렇게 먹구름은 빛을 흡수하고 산란시키는 특성으로 인해 더 어두워 보이게 되며, 비 또는 강수와 연관된 현상으로 자주 관찰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먹구름은 높은 수증기 농도와 물방울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수증기와 물방울은 빛을 흡수하고 산란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 결과, 먹구름은 들어오는 태양 빛을 흡수하고 잔류 빛은 산란되어 분산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퍼지게 됩니다. 이러한 빛의 분산은 먹구름을 어두운 색으로 만들어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