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고귀한거미8
고귀한거미822.10.21

소화기로 불을끄는 원리가 어떤건가요?

불이나게 되면 소화기로 불을 끄잖아요.


소화기의 하얀 분말이 분사되면서 불을 끄게되는데

하얀 분말 가루의 어떤성분때문에 불이꺼지게 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위대한거북이239입니다.

    불이 나기 위해서는 세 가지 필요조건이 존재합니다.

    산소의 적절한 공급, 발화 온도, 연료(가연물)이 있습니다.

    분말소화기는 열분해를 일으켜 억제효과가 나타납니다.

    열분해로 인해 흡열반응이 일어나면 온도가 떨어지게 되고,

    분말이 산소를 적절히 차단하면서 불이 꺼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기특한여새235입니다.

    소화기의 분말은 인산암모늄으로 되어있는데요.

    인산암모늄 관련해서는 하기 내용 참고 부탁드려요~

    현재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는 분말소화기의 주성분으로, 밀가루와 같이 미세한 분말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분사함과 동시에 바로 냉각효과를 볼 수 있으며, 화재 발생 부분에 가라앉아서 산소와 접촉하는 것을 막아주어 불꽃이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해주는 것이 특징입니다. 일반화재, 전기화재 등 모든 화재에 효과적이나 다른 종류의 분말 소화약제와 섞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연소에는 연소물질, 발화점 이상의 온도, 산소가 꼭 있어야 합니다.

    소화기에는 인산암모늄이 들어있는데 인산암모늄 분말을 뿌려 산소차단, 및 냉각 효과를 가해 연소가 더 되지 않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