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로고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07

구름의 구성 성분 및 날씨에 따라 구름 색 변화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하늘에 있는 구름이 눈에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구름의 구성 성분은 뭔가요?

단순 수증기인가요? 날씨가 맑을 때는 하얀색으로 보이는데 날씨가 흐릴 때는 왜 회색으로 보이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구름은 수증기와 물방울이 모여 발생된 것입니다.

    태양열에의해 수증기가 발생되고 상승기류로 인해 하늘로 올라가 상층의 차가운 공기를 만나면 물방울이 되어 구름이 형성됩니다.

    이때 다량의 수증기가 뭉쳐저 물방울이 커지게 되면 구름은 수직으로 두꺼워지게 됩니다.

    이 두꺼워진 구름속의 수많은 물방울들은 태양빛을 여러 방향으로 굴절시키고 흡수하게 됩니다.

    빛의 굴절양이 많고 흡수량이 많아 지면 지상으로 내려가는 빛의 양이 매우 적게 되어 지상에서는 구름이 짙은 회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짙은 회색의 구름은 물방울이 많이 뭉쳐 있는 구름이므로 곧 비가 내릴 확률이 많은 구름 입니다.


  • 화목한다람쥐109
    화목한다람쥐10922.12.07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먹구름이 검게보이는 이유는 물분자 크기가 커서 빛을 산란시키지 못하고 흡수해서 검게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의 구성 성분은 물과 얼음 입자입니다.

    구름이 눈에 보이는 이유는 태양 빛이 구름에 산란, 반사, 흡수되기 때문입니다.

    구름의 색상이 다른 이유는 구름의 두께 때문입니다. 만일 구름의 두께가 얇으면 빛의 산란과 흡수 등이 적기 때문에 하얀색에 가깝게 보입니다. 하지만 구름이 두꺼운 경우 빛이 통과하며 산란되고 흡수되는 빛의 양이 많아지며 검은 색에 가깝게 보이게 됩니다.

    그래서 먹구름의 경우 지상에서 보면 검은색에 가깝고 높은 고도로 갈수록 흰색에 가깝게 보이게 됩니다.


  • 구름이 흰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구름을 구성하는 물방울과 얼음 입자가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입니다.

    곧 비가 내릴 먹구름이 검은색인 이유는 물방울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물방울이 커지면 빛을 반사하는 양보다 흡수하는 양이 더 커지게 됩니다.

    반사하는 빛의 양이 적으니 검은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의 색깔과 하늘의 색깔이 다르게 보이는 이유는 태양빛이 대기권에 굴절 및 반사되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