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23.08.29

6.25전쟁으로 인해 발생한 이산가족은 어떤 상황에서 생겼나요?

6.25전쟁으로 인해 발생한 이산가족은 어떤 상황에서 생겼나요?

전쟁으로 인해 가족들이 분리되고, 어떻게 이산가족 상태로 남게 되었는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50년 10월 국군, 유엔군이 북한으로올라가 두달간 거의 통일이 될 뻔하다가 중공군이 북한을 도우며 공산주의에 시달리던 사람들이 국군과 같이 남한으로 내려가자고 유도, 이 과정에서 다리가 끊어져 더이상 못가게 된 경우, 바다로 갔는데 배가 없어서 못간 경우, 기차, 트럭 등의 이동수단에 누군가는 타지 못한 경우 등으로 헤어지게 됩니다.

    남북 분단 및 6.25전쟁과 그로 인해 만들어진 휴전선으로 이산가족은 현재 진행형으로 2023년 기준 6.25전쟁으로 인해 발생한 이산가족 1세대는 최소연령 78세에 최대 100세 이상에 이르는 등 고령화가 심각해졌고 남북관계가 언제 통일될지 모르는 분단 고착기에 접어들어 이들이 다시 만날 가능성은 낮은 상태입니다.

    2023년 현재에도 북한 주민들이 북한을 탈출해 남한으로 오다보니 이산가족은 현재에도 생겨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인찬 상륙 작전으로 서울 등을 회복하며 북으로 북진 하던 우리군과 연합군은 30만 중공군의 투입으로 어쩔수 없이 다시 퇴각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퇴각한 UN군은 북한 동부 해안에 위치한 함경남도 흥남시 주변에 방어선을 구축하여 고조를 기다리다가 1951년 1월4일 193척 분량의 UN군과 물자 (군인 105,004명, 민간인 98,000명, 차량 17,500대, 물자 350,000톤)가 탈출을 해서 부산으로 향하게 되는데 이때 엄청나게 많은 이산가족이 발생 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83년 KBS에서 전개된 남북 이산가족 찾기 운동은 전국민을 눈물의 도가니로 만든 각본없는 하나의 드라마였습니다. 전쟁 고아로 외국까지 가서 살았던 우리의 가족들이 전쟁이 끝나고 30년이 지났지만 고국 땅을 밟지 못하다가 만나게 된 사연과 전쟁통에 헤어져서 서로 생사를 모르고 있다가 만나게 된 형제 자매 부모자식간의 만남은 온통 눈물바다를 연출했습니다. 전국민을 눈물에 빠뜨린 KBS 남북 이산가족 찾기는 누가 이사람을 모르시나요와 함께 울려퍼지는 노래가 가슴을 쥐어짜게 하면서 안타까움과 미련과 실망과 분노와 좌절과 온갖 고초를 감당해야 했던 이산가족들의 아픔을 날 것으로 생생하게 보여주었습니다. 헤어진 사연도 가지가지였고 지척에 있음에도 생사를 알지 못하고 살아온 사람들 너무 늦게 만나 이세상에 안계신 부모님들 알지 못하는 조카들의 모습 등 사연도 갖가지 였습니다. 또 안타까운 것은 부자 형과 가난한 동생의 만남 부자동생과 기난한 언니네의 만남 등 만나면 그토록 잘해주고자 했으나 서로 딸린 식구들이 있어 내마음 같지 않으니 거기에서 오는 갈등으로 차라리 만나지 말 것을 이라는 후회를 안고 살아야 하는 사람들의 모습 또한 사람들의 가슴을 절절하게 만들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남한과 북한이 서로 차지했던 지역이 바뀌고 바뀜에 따라 가족 중 일부는 남한 쪽에, 일부는 북한 쪽에 남게 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산가족이 발생하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 측면에서 아예 북쪽 끝이나 남쪽 끝에 있는 가족의 경우 이산가족이 되지 않았었지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전쟁이 나고 북에서 피난을 남한으로 떠났습니다.

    1.4 후퇴때 많은 가족이 북한 공산당을 피해

    남한으로 피난을 가면서 급히 피난하느라 헤어지게 된 것입니다.

    그리고 남한으로 친족등이 있으면 넘어 왔습니다.


    남한에서 북한으로 가게된 것은 끌려갔습니다.

    너무 아픈 그때였습니다.

    그리고 휴전이 되었고

    다시 넘어가지 못하고 차일 피일 미루던 것이 이산가족이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산가족은 남북 분단 및 6.25 전쟁과 그로 인해 만들어진 휴전선으로 인해 발생했습니다. 2023년 기준 6.25 전쟁으로인해 발생한 이산가족 1세대는 최소연령 78세에서 최대 100세 이상에 이르는 등 고령화가 심각해진 한편, 남북관계가 언제 통일될지 모르는 분단 고착기에 접어들어 있는 상태라서 6.25 전쟁 이산가족 1세대가 혈연을 또 만나볼 가능성은 낮은 상태입니다. 2023년 현재에도 북한 주민들이 북한을 탈출해 남한으로 오다보니 이산가족은 현재에도 생겨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