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16

구전동화의 출처는 알 수 없을까요?

옛날부터 내려져 오는 동화들이 있잖아요.

콩쥐 팥쥐, 라던지. 금도끼 은도끼놔 같은 이런 동화들은

어디서 누가 만들었는지 출터를 확인할 수 없을까요?

누가 만들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순금킹 시계퀸
    순금킹 시계퀸22.11.16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질문자 님에게 답변 드리겠습니다.

    구전동화는 말로만 내려 오는 것이고 문자가 없을때에도 존재했씀으로 그 출처를 기록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니까 편하게 작가미상 이라합니다.

    그렇게 편하게 이해 하시면 되겠습니다.

    알 수 없는 일은 모르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구전동화는 전래동화와 같은 개념으로 봐야 할것 입니다. 그 이유는 전래동화란 옛날부터 전해 온 것(문헌 전승, 구전 전승 모두 포함)으로써 아이들의 동심을 그 바탕에 깔고 있는 이야기 입니다.그러므로 누가 만들었는지 그 유래나 기원은 확실치 않습니다. 다만

    설화혹은 민담의 일부가 변형되어서 생겼다는 것이 주된 학설입니다. 신화나 민담, 즉 대대로 전해내려오는, 말 그래도 입에서 입으로 전해내려 오다보니 출처를 찾기는 정말 힘들지요. 또 찾는다고 해도 그를 검증할 방법이 없구요. 암튼 그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선녀와 나뭇꾼> <금도끼 은도끼><견우와 직녀>등이 있자요. 감사합나다.



  •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구전동화는 말 그대로 입에서 입으로 전래되어 온 이야기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작가가 누구인지 출처가 어디인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예전에 있어왔고 그 이야기를 들은 누군가가 또 그 이야기에 약간의 재미를 더해 전해 내려온 이야기가 구전동화입니다.

    미흡하지만 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구비문학이라고도 하는 구전동화는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언어문학이라 출처도 작자도 찾기가 힘든다고

    합니다. 그나마 계속 이어온것이

    다행이란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