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특출난왜가리83
특출난왜가리8322.01.02

실질적 마이너스 금리가 무슨 뜻일까요?

금리가 0이하인 마이너스가 아님에도 실질적인 마이너스 금리라는 이야기가 종종 들려서 왜 그런지 궁금합니다. 무슨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추가적으로 진짜 금리가 마이너스가 되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물가상승률이 예를 들어 4%이고 예금이율이 연 2%라면

    돈을 은행에 예금하였어도 예금이율이 물가인상율을 따라가지 못했고

    과거보다 같은 돈으로 구입할 수 있는 상품 등이 줄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마이너스 금리라는 말이 나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간단하게 말씀 드리자면 금리는 명목금리와 실질금리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명목금리는 표시 이자율 즉, 채권이나 예금 시 금융 기관에서 주는 이자율이며 실질금리는 물가상승율(인플레이션율)을 고려한 실질적인 금리를 나타냅니다.

    가령, A라는 사람이 1월 1일에 명목금리 3%의 1년짜리 적금을 들었습니다. 12월 31일에 적금을 찾았는데 당해 최종 물가상승율이 5%라면 실질금리는 -2%가 되는 셈입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잔망루피입니다.

    금리가 물가 상승률보다 낮을경우 실질적 마이너스 금리라 표현합니다. 이자가 물가상승률을 못따라오는 경우죠.

    금리가 마이너스가 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생각하시면 됩니다. 금리가 마이너스라면 예치할 이유가 없죠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1.04

    안녕하세요. 이상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실질금리는 금융 경제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쉽게말해서, 요즘 핫한 기준금리를 명목금리라고 부르며, 이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뺀 것입니다.

    예를들어, 은행에 돈을 넣어두면 연 2% 이자를 받습니다. 그런데 물가는 올해 연 3% 올랐다면, 실제로는 -1%가 실질금리가 됩니다.

    결국, 현금을 보유하고 있으면 손해가 나기 때문에 주식, 부동산 매수 등을 통해 자산 보전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장효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실질적 마이너스 금리란 대부분 은행 예금 이자가 물가상승률을 못 따라잡는 말을 뜻합니다.

    예를들어 보겠습니다.

    빵 하나가 100원이고.

    길동은 은행에 1000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때 길동은 빵 10개를 살 돈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은행에 저축을 하고 다음해가 되니,

    빵 한개 가격은 200원으로 올랐는데.

    은행에 저축을 한 돈은 겨우 1200원이 되었습니다.

    이제 길동은 빵을 6개밖에 살 수 없게 되었습니다.

    이것이 바로 실질적 마이너스 금리입니다.

    은행에서 분명 예금이자를 받았음에도 손해가 발생한 것이지요.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 안녕하세요. 이상훈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명목금리의 경우 실질금리에 예상인플레인션을 더한 것입니다

    반대로 실질금리는 명목금리에서 예상인플레이션이 빠진 것을 말하므로

    명목금리보다 예상인플레이션이 크다면 실질금리가 마이너스도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화식 보험/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상승률을 금리가 못따라 가기 때문에 실제 마이너스금리라고 하는건데 금리가 마이너스는 실제로 되는것은 아닙니다.

    금리가 계속 떨어진다면 돈의 가치가 하락하고 물가는 상승, 자금은 부동산이나 주식시장으로 흐른다는게 교과서적 판단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실질적 마이너스 금리'라고 말씀하시는 것은 저금리 시대에 물가상승률과의 관계에 대하여 말씀하시는 것으로 보입니다.

    즉, 마이너스 금리를 가지는 금융상품에 돈을 넣으면, 시간이 지날수록 원금이 깎인다는 뜻이고, 예금이나 채권에 설정된 이자가 매우 낮아서 물가상승률 때문에 떨어지는 화폐 가치를 따라가지 못 하는 경우에 실질 금리가 마이너스라는 얘기를 하게 됩니다.

    즉, 마이너스금리: 저금리시대에 물가상승률이 더 높아 실질금리가 마이너스인 경우

    를 말하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