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건강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건강상담
덕망있는동박새130
덕망있는동박새13021.04.04

두드러기가 얼마나 지속되면 만성두드러기일까요?

두달전에 두드러기가 몇번 났었는데 병원에서 처방 받은 약을 먹고 괜찮아졌길래 일주일정도 기다리니 이유없이 두드러기가 매일 나고 있습니다. 약을 먹으면 가라앉기는 하지만 일시적으로 가라앉고 날이 가면 갈수록 점점 더 심해지는거 같습니다. 두달이상 이렇게 지속되면 만성두드러기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6주를 기준으로 급성과 만성을 나누게 됩니다. 이미 만성의 진단 기준에 해당 하고 있는거 같습니다. 우선은 원인을 찾고 회피하는 방법과 약물 치료를 병행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원인을 발견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라면 항히스타민제를 장기 복용 하거나 그 외 약물을 투여 해야 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만성두드러기에 사이폴 같은 면역억제제나 졸레어 같은 단일클론 주사를 사용 하기도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04.05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피부과 전문의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만성 두드러기와 급성 두드러기를 나누는 시간적 기준은 6주입니다. 6주이상 지속될 경우 만성두드러기로 생각하고 치료를 하게 되죠. 만성 두드러기는 오래가는 사람은 수십년간 달고 사는 사람도 많고, 없어지는 사람은 수개월 또는 수년 사이에 사라지는 사람도 있습니다.

    두드러기 치료는 약을 잠시 먹고 완치한다는 개념보다, 두드러기가 발현되는 기간동안 증상을 항히스타민제라는 약으로 지속적으로 억제 시켜준다는 개념으로 생각하셔야 합니다. 그러면 평생 안 낫는 두드러기 때문에 평생 약을 달고 살아야 하냐고 물으십니다. 증상이 계속 심하게 지속된다면 약을 매일매일 지속적으로 복용하는 경우도 많지만 몇개월 가량 약을 먹다보면 어느 순간엔가 증상이 약화되거나 사라져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처음에는 증상이 심하다고 오셔서 약을 하루 두번씩 1~2달간 연속해서 드시다가, 약으로 증상이 잘 조절되면 하루 한번으로 줄입니다. 그래도 괜찮으면 이틀에 한번, 나중에는 상비약으로 가지고 있다가 증상이 좀 생길 때만 잠시 복용하는 식으로 점차 줄여나가게 됩니다.

    항히스타민제라는 약은 장기 복용해도 매우 안전한 약이니 몇 년씩 복용해도 큰 문제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