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슬기로운줄나비104
슬기로운줄나비10423.03.26

미국의 은행 부도 사태가 번진다는게 어떤 원리로 번지는지 궁금합니다.

예를들어 , SVB 은행 파산이 되면서 다른은행도 점차 파산하기 시작하는데

이게 사람 심리때문에 은행에서 돈을 빼기 때문에 은행이 망하는건가요?

왜 번지는건지 자세한 원리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은행 파산이 다른 은행에 번지는 원인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은행은 예금자들의 예금을 대출 등의 용도로 사용합니다. 이 때 대출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자금이 파산된 은행에 있을 경우, 이러한 자금이 회수되지 못하고 소멸되게 됩니다. 이는 예금자들의 예금액이 감소하게 되고, 예금자들이 불안감을 느끼게 됩니다. 이는 다른 은행으로 예금이 이동하게 되면서, 파산된 은행의 파산 위험이 다른 은행에도 번지게 됩니다.

    둘째, 은행은 상호 대출 등의 형태로 다른 은행과 금융 거래를 합니다. 이 때, 파산된 은행과 거래를 하고 있던 다른 은행들은 파산된 은행으로부터 대출금 등을 회수하지 못하게 되고, 이는 다른 은행의 자금난 상황을 야기하게 됩니다. 이는 결국 다른 은행들도 파산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원인들로 인해, 은행 파산은 다른 은행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또한, 예금자들이 불안감을 느끼고 예금액을 인출한다면, 이는 다른 예금자들도 예금액을 인출하게 되어 은행 파산을 가속화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이러한 원인들로 인해, 은행 파산은 다른 은행에도 영향을 미치고, 파산 위험이 번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은행 부도 사태가 번지는 원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연쇄 파산의 원리이며 둘째, 시장의 불안감과 패닉 상황에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먼저 연쇄 파산의 원리는 하나의 은행이 파산하게 되면 그 은행과 거래를 하는 다른 은행들에게도 파장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유는 은행들은 서로에게 돈을 빌려주고, 예금을 예치해놓는 등 서로 금융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하나의 은행이 파산하면 그 은행에 예금을 예치한 사람들은 예금을 찾으러 다른 은행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때 다른 은행들은 예금 인출에 대한 요구를 받게 되고, 이러한 요구가 급격하게 증가하면 다른 은행들도 동시에 파산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둘째, 시장의 불안감과 패닉 상황에서 발생하는 현상은 금융시장에서 광풍 속에 있는 상황에서 은행에 대한 불안감이 일어나면 인상된 이자율과 대출 거부 등이 발생하여 은행의 자금조달이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은행이 파산하기 전에도 이미 공급과 수요의 균형이 깨지면서 은행에 대한 불안감이 일어나고, 이를 통해 은행에 대한 대출 심사가 더욱 엄격해지면서 경제 전반적으로 선순환에서 역순환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러한 이유로 은행 부도 사태가 발생하면 금융시장 전반에 큰 충격을 미치고, 금융위기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정부와 중앙은행은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적극적인 대응을 해야 하며, 개인들도 자신의 자산을 안정적으로 운용하고,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투자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바로 뱅크런 현상 떄문 입니다. 대규모로 몰려들어 예금을 인출하는 현상을 뱅크런(Bank Run)이라고 하는데요. 뱅크런 현상이 생기는 이유는 금융시장이 극도로 불안한 상황일 경우 예금자들이 은행에 맡긴 돈조차 제대로 받을 수 없을 것이라는 공포감을 갖게 되기 때문입니다. 즉 심리적인 이유가 강한 것이지요. 이번 미국 실리콘 뱅크 파산 사태로 인해 다른 은행 고객들도 혹시나 은행에 넣어둔 돈을 못 받으면 어떻할까 하는 걱정으로 동늘 인출해서 다른 투자 대체 상품들 , 즉 코인이나 달러나 금등에 투자하는 형상으로 나타 날수 있지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금융기관 등 곳곳에서 뱅크런 현상이 발생한다면

    각 은행 등이 유동성이 부족하여져 도산할 수 있고

    이것이 연쇄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SVB의 파산은 실제 해당 은행의 수익성 악화로 발생한 것인데, 16위의 큰 은행이었다보니 고객들은 본인들의 은행 또한 자금부족으로 인해서 예금을 돌려주지 못할수 있다는 불안감에 예금을 인출하기 시작하고 이런경우 은행들은 이러한 인출에 대비해서 예비비외에 추가적인 자금이 필요하다보니 기존에 운영하던 자금을 손실을 보고 처리해 자금 마련을 대비하다보니 은행들의 연쇄적인 파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이야기하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