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전송 속도가 유선이 무선보다 더 빠른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는 전선을 직접 연결하는 유선 방법이 있고,,
선이 없이 전송하는 무선 방법이 있잖아요?
그런데 데이터 전송 속도는 유선이 무선보다 더 빠르다고 하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왜냐하면 무선은 선도 없이 허공으로 전송되니까 방해받지 않고 더 빨리 전송될테지만,
유선같은 경우는 전선 자체의 저항도 있고, 전선과 연결된 셋톱박스라던지 컴퓨터라던지
여러 단계를 거쳐야 되니까 더 느리지 않을까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전문가입니다.
무선은 기본적으로 환경에 저항을 많이 받습니다.
벽이라던지 다른 무선 기기 전파 등으로 인해 신호간섭을 많이 받기 때문에 실제 전송 속도보다
느릴 수 있죠.
반면에 유선같은 경우 전선의 저항이 있다고 하지만 실제 다이렉트로 연결되는 것이라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습니다.
무선은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신호간섭이 많아 속도가 시시때떄로 변하기도 하지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데이터 전송 속도에서 유선이 무선보다 더 빠른 이유는 몇 가지 기술적 요인 때문입니다. 유선 연결은 전송 손실과 간섭이 적으며, 안정적인 전송 경로를 제공합니다. 특히 광섬유 같은 고속 전선을 사용할 경우 매우 높은 대역폭과 낮은 지연 시간을 자랑합니다. 반면 무선 전송은 전파가 공기를 통해 퍼지면서 전파 간섭, 신호 감쇠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여러 기기가 공유하기 때문에 혼잡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런 요소들이 합쳐져 무선보다 유선이 상대적으로 더 빠르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유선 연결이 무선보다 일반적으로 더 빠른 이유는 몇 가지 기술적 요소와 관련이 있습니다. 유선 연결, 특히 광섬유 케이블은 전자기 간섭의 영향을 덜 받으며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반면에 무선 연결은 전파를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이는 주파수 혼잡이나 장애물로 인해 신호 약화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전선의 저항보다는 신호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기술이 유선 기술에 적용되어 있어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합니다. 반면에 무선 통신은 여러 사용자가 같은 주파대역을 이용하여 대역 폭이 제한될 수 있어, 이는 데이터 전송 속도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유선인 경우, 기기와 기기 사이의 구성 장치 등이 단순해서 바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지만,
무선인 경우에는 어느 기기에서 신호를 송신할때, 그 신호를 변형시키고, 그 신호를 수신받는 기기에서는 그 신호를 다시 원래대로 변형시키는 작업을 거쳐야 합니다. 게다가 주변의 방해 전파 등의 요소도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느릴 수밖에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유순혁 전문가입니다.
유선 데이터 전송은 신호의 간섭과 감쇠가 적기 때문에 무선보다 빠릅니다.
유선은 전선 내에서 직접적으로 신호를 전달하며, 외부 간섭의 영향이 적기 때문에 안정적이고 빠른 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유선은 도체에 의해 데이터를 전송되는데 그 과정에서 도체의 순수저항뿐이죠.
하지만 무선은 공기 매질에 저항, 거리가 멀수록 등등 저항체가 많은거죠.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유선 방식이 무선 방식보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더 빠른 주된 이유는 유선이 신호 손실과 간섭이 적고 안정적으로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무선 전송은 공기를 매개로 하여 전파되기 때문에 주변 환경의 간섭 거리 장애물 등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반면 유선 전송은 신호가 직접적으로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므로 간섭이 거의 없고 데이터를 손실 없이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또한 광섬유 케이블 등 고속 전송 매체를 사용하는 경우 데이터 전송 속도가 매우 높아질 수 있습니다. 무선은 편리하지만 기술적인 한계로 인해 여전히 유선보다 느릴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유선은 전류가 흐를때 발생되는 전자기장을 활용합니다. 그랴서 전선으로 흐를때 아무런 방해가 없어서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릅니다. 하지만 무선의 경우 여러가지 방해물이 있고 또한 거리에 따라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전송율이 떨어지기때문에 속도가 유선보다 느린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유선은 케이블을 통해서 직접적인 데이터를 받는 것이고 무선은 공기중으로 뿌리기 때문에 더 빠르지 않을 수 밖에 없습니다. 어차피 와이파이 중계기도 선을 통한 통신을 뿌려주기때문에 1차적이냐 2차적이냐의 차이로 2차가 더 적을 수 밖에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일반적으로 유선 데이터 전송은 신호 간섭이 적고, 대역폭이 넓으며 지연 시간이 적기 때문에 무선보다 빠르고 안정적일 수 있습니다.
특히 무선의 경우 거리와 장애물에 의해 신호 강도가 급격히 감소할 수 있습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두현 전문가입니다.
유선 전송보다 무선 전송이 더 빠른 이유에 대해서 가장 간단하게 접근하자면
와이파이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와이파이처럼 무선 전송에 의한 전파가 벽이나 가구등의 장애물을 만나게 되면 신호간섭이 생겨서 전송속도가 느려지는 걸 느껴보신 적이 있으실 겁니다
하지만 유선은 케이블을 통해서 직접 전송되기 때문에 어떠한 전파 방해를 받지 않고 전송이 가능하기에
전송속도가 더 빠른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