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GTA를좋아하는트럭소녀간호사
GTA를좋아하는트럭소녀간호사

왜 운전을 직접 하면 멀미를 안할까요??

안녕하세요.

저는 차를 타면 멀미를 자주 하는 사람인데요.

신기한건 제가 직접 운전을 하면 멀미를 안하게 된다는 점이에요..

오히려 운전을 직접 하면 이리저리 정신이 없으니까 멀미를 해야하는게 정상이 아닐까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저랑 비슷한 체질이라 생각됩니다. 실제로 용감한너구리님 처럼 운전을 직접할 때 멀미를 덜 느끼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내가 운전을 하면서 차량의 움직임을 미리 알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뇌와 근육이 차량의 움직임이나 관성에 더 잘 적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운전을 직접하면 멀미가 덜한 이유는 시각과 전정기관(평형감각기관)의 정보가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멀미는 시각적 단서와 전정기관에서 오는 정보가 서로 다를 때 발생합니다. 차를 타고 있을 때는 시각적으로 움직임을 인지하지만, 전정기관에서는 정지 상태라는 상반된 신호를 받아 멀미가 유발됩니다. 하지만 직접 운전을 하면 시각과 전정기관이 모두 차량의 움직임을 인식하게 되어 정보가 일치하므로 멀미 증상이 줄어듭니다. 또한 운전에 집중하느라 멀미 증상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게 되는 것도 한몫합니다.

  • 멀미는 평소에 느끼지 못하던 예상하지 못한 움직임이나 진동에 의한 신경자극에 의해 발생합니다.

    하지만 운전을 본인이 직접하게되면 어느정도 차의 움직임을 예상할 수 있기때문에 예측된 신경자극을 인지할 수 있어 자극 정도가 낮아져 멀미 정도가 심하지 않습니다.

    버스를 탈때 예측이 쉽지 않은 버스 맨 뒤쪽에 앉을 때 멀미가 더 심해지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멀미가 심하신 분들은 운전자 바로 옆에 앉아서 차가 나아가는 방향을 함께 바라보며 움직이는것도 멀미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우선 멀미를 하는 것은 불규칙한 움직임에 대한 신체 반응인데요, 신체가 불규칙하게 움직이면 해당 움직임이 내이의 반고리관 안의 림프액에 전달되면서 비정상적인 진동이 뇌의 구토 중추에 전해지면서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이때 차를 타면 멀미가 나지만 운전을 할 때에는 오히려 멀미를 하지 않는 이유는 운전자는 전방을 주시하면서 스스로 차량을 움직이기 때문인데요, 운전자의 눈으로 본 것을 그대로 신체가 반응하고,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차가 움직이는데, 이 과정에서 신체 기관들은 차량의 움직임과 신체의 움직임을 미리 대처하고 있기 때문에 운전자는 멀미를 하지 않는 것입니다.

  • 멀미는 예측하지 못한 움직이나 진동에의해서 귀 안에있는 평형기관과 전정기관에 지극이 지속되면서 발생합니다.

    반고리관이나 전정기관과 같은 평형이나 중력을 감지하는 기관 안에는 여러개의 신경세포와 연결된 털과 이석들이 존재하는데, 우리가 몸을 움직이거나 환경에 의해 움직임이 발생할때 돌이 굴러다니며 이 털을 자극하며 신경세포들을 자극합니다.

    이렇게 자극 된 신호들은 뇌로 전달되어 회전이나 중력의 변화를 인지하게됩니다.

    하지만 평소와 다른 반복되는 자극이나 급격한 작용이 일어나는 경우 큰 신경신호가 갑작스럽게 뇌로 전달되어 부교감신경이나 교감신경과같은 자율신경계를 함께 자극하고 이와 연결된 구토중추를 자극하며 메스꺼운 느낌을 주거나 구토를 직접 유발하기도 합니다. 또한 두통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멀미약을 붙이거나 먹게되면 이러한 귀 안의 신경감각을 무뎌지게 만들면서 전달되는 신경신호를 약화시키고 위와같은 작용들을 완화시켜 줍니다.

  • 안녕하세요.

    멀미가 일어나는 주요 이유는 눈에서 판단되는 시각과,

    귀의 전정기관에서 판단되는 흔들림이나 회전(전정감각)이 일치하지 않아

    뇌가 혼란을 느끼고 구토중추가 활성화되어 일어납니다.

    그래서 특히 차에서 스마트폰을 하거나 책을 읽으면 화면과 글자에 집중하게 되어 이런 간극이 심해지므로 증상이 더 심해집니다.

    앞자리에 앉은사람 특히 운전자의 경우 멀미를 하지 않는데,

    이는 운전자가 직접 차량을 제어하고 있고, 전방에 보이는 시야와 현재 느껴지는 전정감각이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직접 차량을 제어하는 점이 자신의 의도대로 방향과 속도가 제어되는 것이기 때문에

    앞으로 보일 시야와 전정감각이 예측이 되므로 뇌에 혼란을 주지 않습니다.

  • 멀미를 하는 이유는 시야와 이동간의 불일치 때문입니다.

    이를 생각해보면 운전을 하는사람은 시야가 이동을 따라가기 때문에 이동과 시야가 일치하여 멀미를 하지 않고 뒷자석에 탄 사람들은 이동하는 시야가 막혀있기 때문에 멀미를 하게되는것이죠.

    감사합니다.

  • 일반적으로 운전 중에 발생하는 멀미는 시야와 균형 감각이 일치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데, 운전을 하면서 몸이 움직이는 것을 시각적으로 인지하고 균형을 맞추기 때문에 멀미를 느끼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우선 멀미를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아실거라고 생각합니다.

    신체기관에서 인식한 정보가 뇌로 이동하는데, 이 과정에서 보내는 것과 받아들이는 것에서 차이가 생겼을 때 발생합니다.

    평소에 우리가 느끼고 인식하던 것들

    예를 들면 차, 배, 비행기, 자동차 등 이동수단을 탔을때, 빠르게 이동 시에 잘 발생하곤 합니다.

    아무래도 위치와 평형에 관련된 기관들이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이지요 특히나 이동방향을 예측하지 못할 경우 더더욱 그렇습니다. 메스껍고 토하고 싶은 그 느낌.. .아주 피하고 싶스빈다.

    이러한 것을 담당하는 기관이 눈과 귀(내이)입니다. 그리고 나머지 기관들이 있지만, 가장중요한것이 시야입니다.

    운전하는 사람은 빠르게 이동하는 것을 시야를 확보함으로써 "실측, 예측 및 예상"할 수 있기 때문에

    귀로부터의 평형정보가 빠른속도로인해 달라지더라도, 눈의 예상정보로 인해 뇌로 들어가는 모든 정보들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아 멀미의 정도가 줄어듭니다만,

    운전을 하지 않는 사람 중 특히 시야를 확보하지 못하는 사람은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 없어 실제 다른 기관이 느끼는 것들과 평소와 다르게 인식하게 되어 정보의 오차가 크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