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세심한황조롱이89
세심한황조롱이8923.10.08

기체 종류에 따라 무게도 다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지구에는 많은 기체들이 있는데요.

이 기체도 눈에 보이지 않지만 무게가 있다고 하더라고요.

기체의 종류에 따라 무게도 다 다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체는 각자 자기들만의 특징이 있으며, 이러한 특징들이 무게에도 적용됩니다. 특히 기체의 중량은 분자량에 의해서 영향을 받게 되는게 무거운 기체일수록 분자량이 큰 특징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요한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그렇습니다. 기체를 구성하는 원자의 구성성분에 따라 무게에 차이가 발생하고, 또 원자의 종류별로 무게가 다 다릅니다.


    예시

    산소 O2 : 32

    이산화탄소 CO2 : 44

    메탄 CH4 : 16

    암모니아 NH3 : 17

    포름알데히드 HCHO : 30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기체의 종류에 따라 무게도 다를 수 있습니다.

    같은 부피를 가지더라도, 다양한 재료와 구조로 만들어진 기체들은 서로 다른 무게를 가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같은 크기의 알루미늄 비행기와 탄소섬유 비행기를 비교해보면, 탄소섬유 비행기가 더 가볍고 경량입니다. 이는 탄소섬유가 알루미늄보다 더 낮은 밀도와 높은 강도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기체의 무게는 주로 사용된 재료의 밀도와 강도, 구조의 설계, 추가 장비 및 시스템의 무게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다양한 기체는 다른 무게를 가지며, 이는 운송, 비행 성능, 연료 소비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에 있는 기체마다 무게가 다릅니다. 산소·질소·이산화탄소의 같은 부피의 무게를 비교해 보면 32:28:44가 되므로, 반대로 각 기체를 32g, 28g, 44g 취하면 그 부피는 같게 됩니다. 같은 조건을 만들기 위해서 0°C. 1기압을 표준 상태(NTP또는 STP)라고 합니다. 표준 상태에서의 산소 1ι의 무게는 1.429g이므로, 산소 32g의 부피는 22.4ι이다. 같은 방법으로 질소 28g, 이산화탄소 44g의 부피를 계산하면 역시 22.4ι가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호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체도 무게가 다릅니다.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것이 드라이아이스인데요.

    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 덩어리입니다.

    상온에 두면 하얀 연기가 바닥으로 가라앉는 것을 볼 수 있어요.

    일반 공기보다 무겁다는 뜻이죠.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체의 종류에 따라 무게가 다릅니다. 기체의 무게는 기체의 분자량에 따라 결정됩니다. 분자량이 크면 무거운 기체이고, 분자량이 작으면 가벼운 기체입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같은 체적을 가진 다른 기체들이 위치하는 고도, 기온, 압력 등에 따라서 서로 다른 밀도와 무게를 가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고도가 높을수록 대기압이 낮아져 공기가 희소해지는데, 이 경우 같은 체적의 공기라 할지라도 더 적은 물질을 가지게 되므로 낮은 밀도와 무게를 가지게 됩니다.


    기체인 질소와 산소가 있습니다. 질소 분자의 질량은 28 그램/몰이고, 산소 분자의 질량은 32 그램/몰입니다. 따라서 같은 체적의 공기를 측정할 때, 질소가 산소보다 약간 가벼워 보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