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디지털 교과서 도입한다고 하던데 우리나라 교육에 혁신 가능성은 어찌 될지요?
올해부터 우리나라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AI기반 디지털 교과서가 도입된다는 뉴스가 있더라고요. 다양한 학습 콘텐츠를 활용을 위해 AI기술을 적용해 가상 세계에서 다양한 학습 콘텐츠도 제공할 예정이라고 써져있더라고요.
안그래도 예전부터 종이책보다는 태블릿 등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곤 했는데 이런 시대까지 오는구나 싶더라고요. 거기다 개별적으로 학생 학습 수준에 맞춰서 맞춤형 학습까지도 기대한다고 하더라고요.
이런 디지털 교과서 도입이 우리나라 교육에 어떤 혁신을 가져올 수 있을까요? 또한 디지털 교육 환경에서 교사의 역할은 어떻게 변화할지, 그리고 디지털 격차로 인한 교육 불평등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도 궁금합니다.
먀 기반 디지털 교과서 도입은 맞춤형 학습을 제공하여 학생들의 학습 효율성을 높이고, 교사는 데이터 분석을 통해 개별적인 지도를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것입니다. 교사의 역할은 지식 전달에서 학생 맞춤형 지도와 멘토링으로 변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디지털 격차 문제는 정부의 지원과 기기 보급 등을 통해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저는 오히려 디지털교과서를 도입하는것에 반대하는 입장입니다. AI의 적용은 좋은 시도입니다만, 아이들의 창의적인 생각을 제한하게 되는 결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교육을 교육이라 생각하지 않게 되고, 아이들의 학업성취도 또한 수준별 교육을 한다고 하면 종국에는 아이들의 수준이 훨씬 많이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습니다.
뒤쳐지는 아이들에게는 좌절감과 낮아지는 자존감이 결과로 일어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종이책을 통해서 수업이 끝나고 난 뒤에 복습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지만, AI수업을 한다면 복습의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아이들은 아직 디지털에 익숙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독이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생각합니다.
교육혁신의 시작점이 되기도 할거같네요..!
요즘애들이 진짜 디지털환경에서 자라나서 종이보다 태블릿이 더 익숙하잖아요ㅎㅎ
근데 이제 AI가 학생 개개인의 학습 속도랑 이해도를 파악해서
맞춤형으로 가르쳐준다는게 정말 대단한거 같에요ㅋㅋ
교실에서 선생님 혼자서 30명 넘는 학생들 하나하나 신경쓰기 힘들었는데
AI가 도와주니 얼마나 좋을까요
이런 시스템이 있으면 뒤쳐지는 학생도 자기 페이스대로 따라갈수있고
잘하는 학생은 더 빨리 나아갈수 있답니다
가상현실로 역사 현장도 직접 보고 실험실습도 안전하게 할수있으니 애들 흥미도 훨씬 높아질거구요
선생님들은 이제 단순 지식전달보다는 학생들 정서적 성장이나 가치관 형성을 도와주는 멘토가 되실거에요
근데 걱정되는건 집안 형편때문에 디지털기기를 못사는 학생들이 있을수 있다는거죠..
정부에서 저소득층 지원이나 학교 대여 프로그램을 잘 마련해서
모든 학생이 평등하게 혜택을 받았으면 좋겠습니다
디지털기기 중독이나 건강 문제도 신경써야 할텐데 이건 학교랑 가정에서 잘 관리해줘야 할거구요
결국 새로운 기술을 잘 활용하면서도 교육의 본질은 잃지 않는게 중요할거 같다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