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목마른셰퍼드98
목마른셰퍼드9821.05.02

헌혈하면 주위에 멍드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헌혈을 하고 난 뒤, 대략 2~3일 후에 헌혈 부위가 노래지면서 멍이 들고, 주사 바늘이 직접 들어간 부위가 아니고

그 근처나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부위에도 멍이 드는데 어떠한 이유로 인해서 발생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05.04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피부과 전문의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헌혈할때 바늘이 혈관을 찌르게 되고 다시 빼는 과정에서 혈관외로 혈액이 유출되게 됩니다. 그래서 일시적으로 멍이 들 수 있습니다. 유출된 혈액은 저절로 흡수가 되는 시간이 걸리고 흡수되는 과정에서 노랗게 변할 수 있습니다. 주사부위에서 상대적으로 떨어진 부위에 멍이 생기는 것은 주사부위에서 유출된 혈액이 피하지방층을 타고 다른부위까지 퍼지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동주 한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헌혈 하시는 과정에서 멍이 드시는군요

    헌혈은 핏줄에서 바늘을 꼿고 피를 뽑는 과정입니다

    그 과정에서 출혈이 생기고 이것은 멍으로 이어집니다

    대부분 심하지 않은 멍이라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용균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멍이 든 이유는 헌혈할 때 정맥을 관통해서 주사침을 찌르는데, 정맥은 상당히 굵은 혈관이기 때문에 지혈하는 데 시간이 걸립니다. 그래서 헌혈이 끝나면 최소 5분 이상 꾹 눌러서 지혈하라고 하는 거고요, 실제로 지혈이 완료될 때까지는 최소 10분에서 길게는 2~3시간까지도 걸립니다.

    만약에 지혈이 완전히 진행되지 않았는데 환부를 문지른다든가 하면 정맥에서 새어나온 혈액이 피하 조직에 고여서 혈종(멍)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피부 근처 미세혈관이 손상되어서 입니다. 너무 걱정 안하셔도 되고 빠른 시일내로 사라집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