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순자산맨
순자산맨

스테비아 HS 코드 관련 질문드립니다

스테비아 HS코드가 궁금합니다 .

무역거래 지표들도 어떻게보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

만약 그 정보들을 모아서 보면 공신력이 있는가도 궁금합니다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먼저 무역거래 지표는 아래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https://unipass.customs.go.kr/ets/


      그리고 스테비아의 경우 보통은 기타 식료품인 2106.90.9099로 분류됩니다. 이에 대한 수출입 내역은 상기 홈페이지에서 해당 hs code로 확인이 가능하나 단일품목은 확인이 어려운점 참고부탁드립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스테비아의 경우 아래와 같이 관세율표상 0702.00-9000호에 분류됩니다.

      또한, 무역거래 지표는 크게 무역수지,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무역수지는 한 나라의 수출액과 수입액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무역수지가 흑자면 수출액이 수입액보다 많고, 적자면 수출액이 수입액보다 적습니다. 무역수지는 한 나라의 경제력과 국제 경쟁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상품수지는 한 나라의 상품 수출액과 수입액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상품수지가 흑자면 상품 수출이 상품 수입보다 많고, 적자면 상품 수출이 상품 수입보다 적습니다. 상품수지는 한 나라의 산업 경쟁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서비스수지는 한 나라의 서비스 수출액과 수입액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서비스수지가 흑자면 서비스 수출이 서비스 수입보다 많고, 적자면 서비스 수출이 서비스 수입보다 적습니다. 서비스수지는 한 나라의 서비스 산업의 경쟁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스테비아가 Stevia의 잎에서 추출하여 얻어진 Stevioside의 백색분말 형태라면 HS 2938.90-4000호(스테비오사이드)로 분류됩니다.

      무역거래지표는 산업통상자원부, 관세청, 한국은행, 한국무역협회 등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정부기관에서 데이터를 확보/축적하여 통계를 작성한 것이기 때문에 공신력이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스테비아의 경우 실제 가공상태 등을 확인해야 정확한 HS CODE판단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추출물의 형태로 수입되는 경우 제1302.19-9099호의 분류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또한 스테비아(Stevia rebaudiana)의 잎에 함유된 글리코시드를 효소처리해서 만드는 천연감미료인 스테비오사이드가 된다면 제2938.90-4000호에 분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제 hs code확인시에는 물품의 현재상태를 파악하여 관세사에게 관련 정보를 공유하여 HS CODE를 확인하여야 합니다.

      무역통계에 대한 정보는 한국무역협회 K-STAT 등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https://stat.kita.net/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