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리사는 어떤 공부를 하고 어떤 절차를 거쳐야 변리사라는 타이틀을 얻게 되는건지 프로세스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변리사는 어떤 공부를 하고 어떤 절차를 거쳐야 변리사라는 타이틀을 얻게 되는건지 프로세스 궁금합니다!!! 궁그매횽~
안녕하세요. 최광일 변리사입니다.
현재 변리사 자격증은 변리사 시험 합격 또는 로스쿨졸업과 변호사자격취득후 변리사등록 두가지 방법으로 활동이 가능합니다. 변리사 시험은 1차 및 2차시험으로 나뉘며 1차시험은 토익등 영어자격시험 통과후 산업대산권법, 민법, 자연과학개론 과목을 보며 2차시험은 민사소송법, 특허법, 상표법 및 선탁과목1가지등 총4과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성민 변리사입니다.
1) 변리사는 발명 등에 대한 출원 및 소송 등을 대리를 해야하므로, 변리사가되려면 발명을 이해하기 위한 이공계열 지식 및 법률 문제를 대리하기위한 법학 지식을 모두 테스트받게 됩니다.
연 1회 실시하는 변리사 시험이 있습니다. 1차 시험(객관식) 및 2차시험(논술형) 모두를 통과하시면 됩니다.
민법// 물리, 화학, 생물 , 지구과학 을 포함하는 자연과학 // 특허법, 상표법, 디자인 보호법을 포함하는 산업재산권법 총 3분류로 되어있는 1차시험을 보게 됩니다.
이후 민사소송법, 특허법, 상표법, 및 선택과목 (유기화학, 화학반응공학, 회로이론 등과 같은 공학과목이나 저작권법 같은 일부 법과목 중 선택)
으로 구성된 2차시험을 보시면 됩니다.
1차시험은 1:6 정도의 경쟁률이고, 다시 2차시험도 1:6의 경쟁률을 갖습니다. 연 200명만 선발되게 되며 체감상 합격자의 7~80%는 스카이 및 카이스트출신인 분들입니다.
2) 또한, 현행법상 변호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 일정 교육을 거쳐 변리사 자격을 부가로 취득하는 방법 또한 있습니다.
다만 대부분의 경우에 커리어를 쌓아가는 루트가 일반적인 시험 변리사출신 분들과는 다르고,필수적인 특허법이나 이공계열지식에 관한 시험을 치르지 않는다는 문제 때문에 변리사회측에서는 제도 폐지를 주장하고 있는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