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서울고무신
서울고무신

야구공의 실밥수가 108개인데 과학적인 근거가 있나요?

야구공 실밥수를 세어보진 않았는데

108개라네요.

야구가 생긴 원래부터 그 갯수에요?

아니면 변화를 거쳐 오늘날 그 갯수가 된건지요?

108이란 숫자를 생각하면

불교에서 말하는 108번뇌가 떠오르는데

야구가 처음 생긴 미국에서

그런 동양철학적인 사고로 정한것 같진않고..

아무튼 궁금합니다.

공인구에 관한 규정때문이라면

규정을 바꿔

실밥수가 108개보다 적거나 많게 바뀔수도 있는거져?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흰검은꼬리63
    흰검은꼬리63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과학적으로 만들어진 야구공은 정해진 기준에 의해 일반적으로 무게 143g, 둘레 23.2㎝, 108개의 실밥으로 구성돼 있다. 그중 108개의 실밥은 공의 구질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 투수가 공을 던져 공이 날아갈 때 공기는 공의 표면을 타고 뒤쪽으로 흘러간다. 공의 앞쪽에는 공기의 저항에 부딪치고, 뒤쪽에는 압력의 소용돌이가 발생하는 것이다. 실밥이 없을 경우 시속 130㎞를 넘기기 힘들다. 하지만 108개의 실밥이 공기의 흐름을 불규칙하게 만들어서 뒤쪽의 압력을 낮출 경우 공기의 저항이 줄어들게 된다. 줄어든 공기 저항만큼 공의 속도는 더 빨라진다.

    야구에서 모든 공은 회전한다. 직구도 물론이다. 공이 회전하게 되면 방향이 변화하려고 하는 힘이 발생한다. 공이 날아가면서 만들어진 회전은 공기의 변화를 초래한다. 이 변화에 따라 공기의 진행방향이 바뀌게 되고, 공이 회전 방향으로 휘게 된다. 이것이 마그누스의 효과다. 특히 108개의 실밥이 예측 불가능한 공의 흐름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 실밥은 공기와의 마찰을 높이는 매개체가 되고, 압력의 차이가 발생하면서 회전 효과가 극대화된다. 결국 투수는 야구공을 잡는 그립의 변화를 통해 변화구의 방향과 속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야구경기에서 공에 흠이 생기면 공을 교체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야구공에 생긴 흠은 공의 빠르기와 변화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당연히 타자에게 불리한 조건이 형성된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108개의 실밥은 공기의 흐름을 불규칙하게 만들어 뒤쪽의 압력을 낮춰 공기의 저항이 줄어들게 됩니다. 줄어든 공기 저항만큼 공의 속도는 더 빨라지는 것입니다. 야구공에 실밥이 없으면 공의 속도는 시속 130㎞를 넘기기 힘들다고 합니다

    실밥은 그만큼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야구공의 실밥은 단순히 공을 꿰맨 자국이 아닌 타자를 교란시키는 다양한 변화구를 창조하는 과학입니다.

    실밥이 공기와 공기 사이의 마찰을 크게 해 압력차를 만들고 공에 회전효과를 주는 것이지요.

    투수가 공을 던져 공이 날아갈 때 공기는 공의 표면을 타고 뒤쪽으로 흘러갑니다. 이 때 공의 앞쪽은 공기의

    저항에 부딪히고, 뒤쪽은 압력의 소용돌이가 발생합니다.

    이런 규칙적인 흐름을 방해하는 것이 공의 실밥입니다.

    108개의 실밥은 공기의 흐름을 불규칙하게 만들어 뒤쪽의 압력을 낮춰 공기의 저항이 줄어들게 됩니다.

    줄어든 공기 저항만큼 공의 속도는 더 빨라지는 것입니다. 야구공에 실밥이 없다면 어떨까요? 공의 속도는

    시속 130㎞를 넘기기 힘들다고 합니다.

    던져진 공은 무조건 회전합니다.

    투수가 직구를 던져도 그 공은 회전합니다. 공이 회전하면 방향이 변화하려는 힘이 발생합니다.

    공이 날아가면서 만들어진 회전이 공기의 변화를 초래하고, 이 변화에 따라 공기의 진행 방향이 바뀌면서

    공은 회전 방향으로 휩니다.

    이를 '마그누스 효과(Magnus Force)'라고 하는데요...

    공이 회전하는 방향과 공기 흐름이 같은 곳에서는 공기 흐름이 빨라지고, 반대편은 공기 흐름이 느려져

    회전방향으로 공이 휘는 것이지요.

    108개의 실밥이 예측 불가능한 공의 흐름에 결정적 역할을 합니다.

    실밥은 공기와의 마찰을 높이는 매개체가 돼 압력의 차이를 만들고 공의 회전 효과도 극대화시키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딱히 그런 이유는 없습니다만....

    과학적으로 말해드리자면

    제가 야구부에서.. 비오는 날 실내에서

    야구영상으로 보기에로는

    180개의 실밥이 손에도 딱맞고

    바람의 영향을 잘 맞는다고 하네요 ㅎㅎ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108개의 실밥은 우연히 맞춰진 수입니다.

    그리고 그보다 많을 수도, 적을 수도 있지만, 108개의 실밥 효율보다 낮기 때문에 바뀌지는 않을 듯 합니다.

    야구공은 일반적으로 무게 143g, 둘레 23.2㎝, 108개의 실밥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말씀하신 108개의 실밥은 공의 구질에 결정적 역할을 합니다. 투수가 던진 공이 날아갈 때 공기는 공의 표면을 타고 뒤쪽으로 흘러가는데, 이 때 공의 앞쪽은 공기의 저항에 부딪히고, 뒤쪽은 압력의 소용돌이가 발생합니다. 이런 규칙적인 흐름을 방해하는 것이 공의 실밥입니다.

    108개의 실밥은 공기의 흐름을 불규칙하게 만들어 뒤쪽의 압력을 낮춰 공기의 저항이 줄어들게 됩니다. 이 덕분에 빠른 공을 던지는 것이 가능하고, 각종 변화구를 던질 수 있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야구공에 있는 실밥수는 108개인 것은 정확하지 않습니다. 야구공의 실밥수는 제조회사나 모델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과학적인 근거는 없지만 야구공의 실밥수는 경기를 하기 좋은 최적의 상태를 만들기 위해 조절됩니다. 예를 들어, 실밥수가 적으면 공이 부딪혔을 때 탄성이 떨어져 덜 멀리 나가게 되어 타자의 기회가 떨어지고, 반대로 실밥수가 많으면 공이 부딪혔을 때 탄성이 높아져 더 멀리 나가게 되어 주자의 기회가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과학분야 답변자 배병제입니다.


    야구공의 실밥이 108개인 이유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가장 유력한 설은 야구가 처음 생긴 미국의 메이저리그에서 1869년부터 108개의 실밥이 사용된 이후로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는 것입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조용찬 과학전문가입니다.


    과학적인 근거라기 보다는 경기사용구 제조기준 때문입니다.


    경기구 반발계수는 0.4034 이상, 0.4234 이하

    볼의 실밥의 폭은 9.524㎜ 이하

    실밥수는 108개

    둘레는 229㎜ 이상 235㎜ 이하

    중량은 141.7g 이상, 148.8g 이하

    가죽은 소가죽


    제조기준이 바뀌게 된다면 실밥수의 개수도 변할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108개의 실밥으로 정해져있으며, 해당 실밥갯수가 공기저항에 의한 공의 꺾임이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입니다.

    실밥이 더많은 경우도 사용해보았지만 변화구의 폭이 너무 크고 앞으로 나아가는데 저항이 많아져 다시 원복하였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형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야구공은 두 장의 소가죽을 맞붙여 216번 꿰매어 만드는데, 이 과정에서 공 밖으로 정확히 108개의 솔기가 드러납니다,

    과학적인 원리보다 한정되어있는 야구공의 사이즈에 딱 맞게 꿰매는 수인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야구공의 수는 역사적으로 변화하면서 현재의 규정에 이르렀습니다. 초기에는 야구가 형성될 때 공을 만드는 방법과 수가 정해져 있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야구가 발전하고 규칙이 정립됨에 따라 공의 규격과 수에 대한 규정이 생겨났습니다.

    현대 야구에서 사용되는 공인구의 기본 규정은 메이저 리그 야구(MLB)에서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 규정은 국제 야구 연맹(FIBA)에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MLB과 FIBA에서는 야구공의 지름, 무게, 소재 등에 대한 명확한 규정을 제시하고 있으며, 현재 야구공의 수는 그에 맞춰서 생산되고 사용됩니다.

    실밥수인 108개는 현재 야구공의 수를 나타내는 표준이지만, 야구공의 수에 대한 규칙이 절대적이지 않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규정이 변경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야구 공인구의 특성과 성능, 경기의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규정이 변경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어렵습니다. 야구의 규칙과 규정은 오랜 역사와 경험에 기반하여 정립된 것이며, 변경될 경우 많은 공백과 혼란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