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비뇨의학과

hawn8123
hawn8123

저활동성방광과 유사한 증상 질문—-

성별
여성
나이대
20대

저는 20대 여성이고 교감신경계 약물 부작용으로 지난 2년간 하루 소변량이 400ml 미만이고, 소변 줄기가 가늘며 시원하게 배뇨되지 않습니다. 대학병원에서 구조적 검사 (X-ray, 내시경)만 반복했지 원인은 찾지 못했습니다. 내시경 후 소변량이 더 줄고 후유증도 발생해, 삽입 검사 시행 은 더이상 원하지 않는데 요속검사와 방광 초음파 검사를 진행하고 제 증상 기록을 기반으로한 자료들고가면 방광 기능 상태를 유추하고 기능적 평가가 가능한가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강한솔 의사입니다.

    가능합니다. 다만 정확도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먼저 말씀드립니다.

    1. 요속검사(Uroflowmetry)

    비침습 검사이며 배뇨 속도·배뇨 패턴·잔뇨 여부를 통해 방광 수축력 저하 여부 요도 기능적 협착 여부 기능적 배뇨근-요도 조절 문제 정도는 [간접적]으로 파악 가능합니다.

    2. 방광 초음파(잔뇨량 포함)

    구조적 이상 없이도 잔뇨가 반복적으로 많으면 기능적 배뇨 장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루 배뇨량 변화도 함께 보완할 수 있습니다.

    3. 배뇨일지·증상 기록

    환자분처럼 배뇨량이 매우 적고 줄기 저하가 지속되는 경우, 배뇨일지( intake/output ), 증상 발생 시점, 악화·완화 요인 등을 가져가면 의사가 기능적 문제(저활동성 방광, 배뇨근 수축력 저하, 신경계 영향 등)를 추정하는 데 실제로 큰 도움이 됩니다.

    4. 다만 한계

    수축 압력(방광근 힘) 은 요역동학검사 같은 삽입 검사가 아니면 직접 측정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비침습 검사만으로는 추정은 가능해도 확정적 진단은 어렵습니다.

    교감신경계 관련 약물 이력과 증상 양상을 고려하면 기능적 배뇨근 저활동 가능성은 의사가 충분히 검토할 수 있는 영역입니다.

    요약하면, 요속검사 + 방광 초음파 + 정밀한 배뇨일지만으로도 현재 방광 기능 상태를 어느 정도 평가하고 진료 방향을 정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단, 정밀한 진단까지는 비침습 검사로는 제한이 있다는 점을 인지하셔야 합니다.

    따라서 대학병원 등 가시는 경우 우선 약물적 치료를 권유해주실 것이고, 이후에도 호전없는 경우 요역동학 검사(침습검사)를 해보자고 하실 가능성이 높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