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5년 플라자합의는무역수지 개선이 목적이었나요?
1980년대 미국은 쌍둥이 적자를 겪고 있었습니다.
1985년 플라자합의는 무역수지 개선을 노린 것인가요?
1. 플라자 합의는 1985. 9. 22.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서독 G5 국가 재무장관들이 미국 뉴욕 플라자호텔에서 만나 미국이 인위적으로 달러의 가치를 떨어뜨려 다른 나라 특히, 일본엔화의 가치를 울리는 평가절상하는 일종의 환율조정 합의를 말합니다. 1980년대초 일본은 압도적인 기술력으로 전자제품을 미국에 수출하고 있었는데, 그중 소니의 워크맨이 미국에 돌풍을 일으켜 엔저를 등에 얻고 엄청난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하자, 경상수지 적자에 시달리던 미국은 이 합의를 통해 250엔이었던 엔달러 환율을 120엔으로 조정하여 일본의 수출경쟁력을 낮추는뎨 상공학고, 그 당시 경제적, 문화적으로 미국의 입지를 침범하던 일본을 성공적으로 저지하게 되었으며, 그 대신 일본은 엔고 현상, 부동산 경제버블 등 엄청난 경제타격을 입고, 그 여파로 20년간 이어진 소위 잃어버린 20년이라는 말이 나오게 되었으며, 이에 플라자합의를 일본에 대한 미국의 경제적인 원폭투하라고 평가하고 있으며, 그 당시 우리나라는 여전히 원화가치가 낮아 일본 엔화와 비교하여 가격경쟁력을 갖추어 수출경쟁력이 커짐으로써 큰 수혜를 보게 된 것입니다.
2. 한마디로 미국이 세계 1등 국가로서 계속 패권을 유지하고, 미국 달러화를 계속 기축통화로서 지위를 유지하고, 일본과의 무역수지 적자폭을 줄이고자, 자본주의 시장에서는 금기시하는 미국의 인위적인 불공정한 환율 개입사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플라자 합의란 1985년 9월 22일에 프랑스, 독일(서독), 영국, 미국, 일본의 재무장관들이 뉴욕 맨해탄의 센트럴파크 남단 5번가에 1907년에 지어진 플라자 호텔에서 진행한 합의로 미국이 인위적으로 달러의 가치를 떨어뜨리려 다른 나라 화폐들(특히 일본 엔화)의 가치를 올린(평가 절상) 일종의 환율 조정 합의입니다.
1980년대 초 일본은 자국의 압도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전자제품을 미국으로 수출하고 있었습니다. 그중 SONY의 워크맨이 미국에 돌풍을 일으켜 엔저를 등에 업고 엄청난 무역흑자를 기록하자 경상수지적자에 시달리던 미국은 본 합의를 통해 250엔이였던 엔달러 환율을 120엔으로 조정하여 일본의 수출경쟁력을 낮추는 데 성공하였습니다. 즉, 말씀하신대로 미국은 무역수지의 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미국은 당시 경제적, 문화적으로 미국의 입지를 슬슬 침범하던 일본을 성공적으로 저지하였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대신 일본은 엔고 현상, 부동산 경제버블 등 엄청난 경제 타격을 입고 이후 그 여파가 20년간 이어져 소위 '잃어버린 20년'이라는 말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이 때문에 플라자 합의를 '일본에 대한 미국의 경제적인 원폭투하'라고 평가하기도 합니다. 반면에 한국은 여전히 원화 가치가 낮았기에 일본 엔화와 비교하여 가격 경쟁력을 갖추어 수출 경쟁력이 커짐으로써 큰 수혜를 보았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1985년 플라자 합의는 무역수지 개선을 목적으로 미국,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다섯 개국이 참여한 환율조정 합의입니다. 이 합의는 미국 달러의 가치를 약화시켜 미국의 수출을 촉진하고, 반대로 일본과 독일 등의 수입을 촉진하여 무역수지 개선을 도모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었습니다. 이 합의 이후 미국의 경제는 회복 추세를 보였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플라자 합의란 1985년 9월 22일 미국 뉴욕에 있는 플라자 호텔에서 G5 경제선진국 재무장관, 중앙은행총재들의 모임에서 발표된 환율에 관한 합의를 말합니다. 이를 아주 간단히 정리하면플라자 합의란 미국 달러화의 평가절하를 위한 주요 국가들 간의 정책 합의로 정리할 수 있겠습니다.
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97imf.kr/exhibits/show/ex-02/ex-02-p3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