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사용 화재 발생 시 어떤 방식으로 진압해야하나요??
요즘 보면 배터리 전지화재도 있고 산불화재도 있고 했는데요. 그래서 어떤 물질에 다라서 화재가 발생되냐에 다라서 불을 진압하는 방식이 다르더라고요. 그래서 궁금한게 전기 사용 화재 발생 시 어떤 방식으로 진압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전기 화재는 누전이나 단락등에 의해서 전기로 인해서 열이 발생되면서 발생되는 화재 입니다. 이런 화재의 경우 C급 화재로 물로 진압하려 할시 전기가 물을 통해서 전달되면서 감전등의 2차 사고가 발생가능합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 소화기나 전용 분말 소화기로 산소를 차단시켜서 화재를 진압해야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전기 사용 화재 발생 시 가장 중요한 것은 전원을 즉시 차단하는 것입니다
전원을 차단한 후 전기 화재에 적합한 소화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ABC 분말 소화기나 이산화탄소 소화기가 전기 화재 진압에 효과적입니다
전기로 인한 환재는 주로 과부하나 누전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 경우에는 물을 뿌리면 감전사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소화기도 종류가 여러가지인데, 전기로 인한 화재인 경우 ABC소화기를 사용하여 화재를 진압합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전기 사용 화재 발생 시 가장 중요한 것은 전원을 빠르게 차단하는 것입니다. 전기가 흐르고 있는 상태에서 물을 직접 사용하면 감전 위험이 있어 절대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불연성 소화기인 ABC 분말 소화기가 일반적으로 적합하며, 이산화탄소(CO2) 소화기도 효과적입니다. 또한 배터리 화재의 경우 특히 위험하므로 전문 기관에 연락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배터리는 열폭주 현상을 일으킬 수 있어 일반적인 소화 방법으로는 진압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기 대응은 중요하지만 안전이 최우선입니다.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전기 화재는 일반 화재와 달리 물을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물은 전기를 전달하여 감전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전기 화재가 발생한다면 우선 전원 차단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어서, 전용 소화기인 CO2 소화기나 드라이케미컬 소화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입니다. 이러한 소화기는 전기 기기로부터 발생한 화재를 진압하는 데 적합하게 설계되었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