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조선 시대 향촌 사회 구성과 통제 방안이 궁금합니다. 그리고 조선 3대 도적도 알고 싶습니다.

조선 시대 향촌 사회 구성과 통제 방안이 궁금합니다. 그리고 혼란스러웠지만 조선 3대 도적도 알고 싶습니다.

동계와 두레라는 용어도 있었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향촌 자치-

      16세기 사림은 향약의 시행과 소학보급에 병행하여 지방 양반의 명부인 향안을 만들고

      양반의 자치기구인 향회를 조직하여 공론을 모으고 유향소의 향권을 장악하였다.

      서원과 향교의 양반 학생 명부인 청금록을 만들어 향촌지배를 보완하였다.


      ① 경재소 : 중앙정부가 현직관료로 하여금 연고지와 유향소를 통제하게 하는 제도, 중앙과 지방의 연락업무 담당


      ② 유향소 : 수령을 보좌하고 향리를 감찰, 향촌사회의 풍속 교정하는 기구.

      향안 : 지방 사족의 명부 - 임진왜란 전후의 시기에 각 군현마다 작성


      향회 : 지방 사족의 총회 - 결속을 다지고 지방민을 통제함


      향규 : 향회의 운영 규칙


      명칭 변화 : 1603년(선조) 경재소가 혁파되면서 향청 또는 향소로 변경


      고려시대의 사심관제도가 분화 발전된 것이 경재소와 유향소이다.

      -출처:네이버 블로그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후기 실학자 이익은 자신의 저서 [성호사설]에서 홍길동·임꺽정·장길산을 '조선의 3대 도적'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