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순수한낙타174
순수한낙타17423.06.17

가계부채의 위험성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뉴스에서 가계부채 비율이 높아져 국가적 위기라고 하던데

그 이유가 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이런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가

어떤 정책을 펼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계부채를 줄이기 위하여 정부에서는

    정부에서 보증하는 대출 등을 늘리는 등

    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글로벌 시장에서 gdp 대비 가계부채를 계산하면 우리나라가 글로벌 상위권에 속합니다.

    • 이는 1년에 벌어들인 돈을 모두 채무에 갚는 것에 써도 부채가 더 높다는 뜻으로 채무가 과중되어 있다는

      뜻으로 생각됩니다.

    • 또한 금리가 올라가면서 이 채무의 부담은 이중으로 심해지고 있습니다.

    • 우리나라는 기축통화 국가가 아니기에 채무관리를 정부가 나서지 않는다면 경제위기가 올 수 있습니다.

    • 따라서 채무조정을 통해 일정 채무를 탕감하거나 이자 납부를 유예해주는 등의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계부채의 위험성은 과도한 부채 누적, 이자율 상승에 대한 취약성, 부동산 가격 하락 등이 있습니다.

    정부의 대책으로는 금융규제, 금리 정책, 재정 지원 및 경제 안정화, 금융교육 및 정보 제공 등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가계부채 문제를 해결하고 가계의 금융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가계부채의 비율이 높아져 리스크가 높다는 것은 우리나라의 GDP 대비 개인으 부채비율이 현재 전세계 국가 중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데 본인이 소득을 가지는 금액보다 부채가 점점 커지고 있으며, 향후에는 이자를 감당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면서 저신용자 및 저소득자 대출의 부실화를 시작으로 점차 중위계층까지 부실화가 발생하게 된다면 해당 채무자들이 담보로 제공하였던 자산들은 경매로 내몰리게 되고 이를 매수할 주체가 없기 때문에 자산 가치의 폭락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서 경제 붕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기 때문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부동산 거품이 원인입니다. 가계부채가 높으면 금리를 인상했을 때 빚에 허덕이는 서민들이 많아지고 이는 경기를 침체시킬 수 있습니다. 부동산 값을 천천히 잡아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외환위기 이후 가계부채에 따른 위험의 평균치를 100으로 놓고 위험성을 판단합니다 이 지수가 100을 넘으면 위험하고 100미만이면 위험하지 않습니다. 현재는 위험 전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계부채비율이 높다는게 결국 대출이 많아졌다는거니 대출이자 지출이 많아서 다들 살기 힘든거죠

    저소득층 저금리대출 지원책을 좀더 내줌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