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수요일
수요일

무지개의 색깔은 항상 같으 배열로 나타나는데

비가 그치고 태양이 비추면 가끔씩 우리는 무지개를볼수가

있는데 무지게의색깔은 항상 같은 배열을 하고있는데 그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무지개가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빛이 공기에서 물방울로 들어갈 때 속도가 줄어들면서 굴절되는데 태양빛은 여러 파장(색깔)으로 나뉘어지며, 빛의 각 색은 굴절되는 각도가 다릅니다. 빨간색은 가장 적게 굴절되고, 보라색은 가장 많이 굴절됩니다. 빗방울 안에서 빛은 반사되어 다시 물방울 밖으로 나가려는 경로를 따릅니다. 이 과정에서 빛은 다시 굴절되면서 각각의 색깔이 확연히 분리됩니다. 빛이 물방울을 통과하면서 각 색깔이 분산됩니다. 빨간색 빛은 가장 적은 각도로 굴절되고, 보라색 빛은 가장 큰 각도로 굴절되기 때문에 무지개의 윗부분에는 빨간색이, 아래쪽에는 보라색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무지개는 항상 같은 색 순서를 유지하게 됩니다. 순서는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로 이어집니다. 이는 각 색깔의 빛이 물방울에서 굴절되는 각도 차이로 인해 항상 같은 위치에 배열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