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똑똑한파리매91
똑똑한파리매9123.02.16

녹조현상이 생기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강물이 초록색으로 변하는 녹조현상이 생기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흐르지 못하고 가둬두면 생기는 건가요? 초록색 말고 다른 색으로도 변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녹조의 원인은 수온, 일사량, 물 순환 정체 라고 할 수 있는데, 질소와 인을 포함한 여러 오염 물질이 강이나 호수로 흘러들어 영양물질이 풍부한 부영양화가 발생되고 강한 햇빛, 높아진 수온, 물순환의 정체로 남조류가 성장하기 좋은 환경이 만들어져 녹조현상이 생기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녹조는 말 그대로 녹색 조류, 물속에사는 작은 생명체들이 많이 자라는 현상입니다.

    수온이 올라가고 따듯한상태에서 많은 영양물질이 물에 유입되면 녹조의 양이 폭발적으로 늘어나 녹색으로 뒤덮히는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녹조현상을 일으키는 원인 조류들이 대부분 남조류이기 때문에 녹조현상이라고 부르지만, 규조류와 와편모조류로 인해 붉은 빛을 띠는 조류현상은 적조와 비교해 담수적조라고 부른다. 그 예로, 낙동강이나 대청호 등지에서는 여름철 남조류가 대량 증식하여 물색이 녹색으로 변하는데 그 현상은 녹조현상이라고 부를 수 있다. 하지만 팔당호 경안천에서는 봄에 규조류가 대량 증식하여 황갈색으로 변했으며 소양호에서는 와편모조류가 대량 증식하여 적갈색으로 변한다.

    녹조가 번식하면 물속의 용존 산소량이 감소, 적조와 마찬가지로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하고 물에서 썩는 냄새가 나 어업에 피해를 준다. 또한 독소를 가진 남조류가 많은 녹색의 호수 물을 마시면 간에 손상이 가거나 구토, 복통이 일어나며 많이 마시면 죽을 수도 있다. 그리고 수역의 생태계가 파괴되어 먹이사슬구조에도 문제가 발생한다. 녹조는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아 유해적조(HAB : harmful algal-bloom : 어패류의 식중독을 일으키는 패독 현상을 포함시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러므로 단순히 물만을 뺏다고 해소되는것이 아니고 발생원인이 되는 프랑크톤을 먹어치우는 미생물을 투하시켜서 순식간에 남조류가 포화상태인 녹조를 미생물들이 먹어치우게 하면 녹조현상은 많이 개선될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녹조의 원인은 다름 아닌 오염물질의 유입(영양물질, 부영양화), 수온, 일사량 증가, 물 순환 정체 등 때문에 발생하게 됩니다. 이때 일부 남조류는 생명활동에 필요한 물질을 합성하고 분해하는 대사 작용의 결과로 독소와 냄새를 발생시켜 수생생물들의 집단폐사를 일으키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