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과거 부여라는 나라에서 영고라는 제천의식을 했다고 하던데 영고라는 제천의식은 어떤것이었는지 궁금합니다.

우리나라 역사와 관련된 영상을 시청하다가 과거 부여라는 나라에서 영고라는 제천의식을 했다는 부분을 보게 되었습니다. 뭔가를 하늘에 소원을 비는 의식이다라고 이해는 하였는데 정확히 영고라는 제천의식은 어떤것이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하늘을 숭배하고 제사하는 의식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이러한 의식들은 농경과 정착생활이 본격화함에 따라 나타난 공동체적인 질서 속에서 등장하였고, 집단행위인 추수감사제적인 성격을 띤 것으로 여겨진다. 이들은 대부분 추수가 끝나는 10월에 행해졌으나 삼한의 경우 5월(수릿날)과 10월(상달)에 각각 거행된 것으로 보아, 당시 농경사회에서 파종기·수확기와 관련된 계절제라 하겠다.

    단지 부여의 영고만은 중국 은(殷)나라의 정월(12월)에 행해졌는데, 이는 수렵사회의 전통을 그대로 간직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물론 여기에서도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종교적인 의식이 거행되었으며, 직업적인 종교전문가가 이를 주관했던 것 같다.

    고구려의 동맹은 수도의 동쪽의 대혈(大穴) 속에 있는 나무로 된 수혈신(隧穴神)을 맞아다가 이를 수도에 연(沿)한 하천의 동쪽 고지의 신좌(神座)에 올려놓고 국왕이 직접 제사를 지냈다. 이 수신(隧神)은 아마도 곡신(穀神)으로 이해되며, 따라서 이 제사는 곡신의례의 축제로 치러진 듯하다.

    한편, 삼한의 5월 수릿날의 제사는 기풍제(祈豊祭)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이러한 행사들은 모두 주술행위를 통한 집단의식적인 축제의 의미를 가지기도 한다. 그러므로 노래와 춤, 그리고 음주 등은 기풍제나 추수감사제와 같은 축제에서 빠질 수 없는 것이다.

    발로 땅을 높게 혹은 낮게 밟으면서 손발을 박자에 맞추어 움직이는 중국의 탁무(鐸舞)와 흡사한 율동과, 여러 사람이 모여 집단적으로 춤을 추는 군무(群舞) 등이 술과 곁들여 축제 분위기를 더해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제천의식은 일찍이 고조선(古朝鮮)에서도 있었다. 지금의 강화도(江華島) 마니산 꼭대기의 참성단(塹星壇)이 바로 단군(檀君)이 하늘에 제사하던 곳이라고 전해 오고 있다.

    또, 신라시대에 하늘에 제사하던 곳은 ‘영일현(迎日縣)’에 있는데, 세속(世俗)에서 전하기를 일월지(日月池)라 불린다고 한다. 신라에서는 하늘 뿐만 아니라 해와 달, 그리고 별에도 제사를 지내는 제도가 있었다.

    한편, 고구려에서는 항상 10월에 제사하면서, 또 3월 3일에 모여 수렵을 하고 하늘에 제사하였다고 한다. 백제에서는 4중월(四仲月)에 하늘과 오제지신(五帝之神)에게 제사하였다. 부여에서는 12월에 하늘에 제사하고, 또 전쟁이 있으면 역시 하늘에 제사하였다.

    고대에서의 제천의례는 갈등과 해소의 장으로서 축제이자, 정치·경제·군사·사법적인 의미를 지닌 것이었다. 따라서 고조선·부여·고구려·백제·신라·가야 등의 고대 국가 초기의 왕권은 제천의례(祭天儀禮)에 의한 종교적 권위에 기반한 것이었다. 당시 초기 왕은 주술적(呪術的) 능력을 가지고 기후와 농사의 풍흉(豊凶)을 책임진다고 믿어졌다. 사람들은 자신들의 물적 생산을 보장받기 위해 자연의 공포와 기아(飢餓)의 두려움을 왕에게 위임하고 그의 특권을 인정해 주었다.

    고려시대에는 왕이 직접 원구단(圜丘壇)에서 하늘에 제사하였다. 조선시대 역시 왕이 직접 원구단에서 비와 풍년을 빌었으며, 단(壇)을 쌓고 천지(天地)에 제사하였다. 그리고 한말(韓末)에 일제가 국권을 침탈하자 이를 되찾기 위해 일어난 의병 중에는 제천의식을 행하는 부대도 있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제천의식

  • 굉장한비오리121
    굉장한비오리121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부여에는 민속신앙으로 추수에대한 감사를 비는 농경민족의 기본의식으로 영고,제천 , 무천의 세가지 있습니다.

    이중 영고는 , 정월에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데 나라의 큰 모임으로 연일 음식과 가무를 하는데, 이를 영고라 합니다.

    이때는 형벌을 금하고 가두는 일이 없어 죄인들을 풀어줬다고 합니다.

    이일이 끝나면 다시 죄수를 가두냐고 하셨는데, 그렇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선사시대부터 하늘은 신성시했던 문화가 내려왔습니다. 단군신화도 하늘에서 내려온 특별한 존재라는 의미가 잏지요. 부여에는 영고, 고구려는 동맹, 동예에는 무천이라는 제천의식이 있었습니다. 부여와 고구려 제천의식은 수렵문화 영향이 있어 가축사냥을 잘하게 해달란 의미가 강했습니다. 그리하여 백성들의 풍요를 기원한 것이지요.

    이에 반해 남부에 자리한 삼한에서는 계절제가 있었는데 오월제와 10월제가 그것입니다. 오월제는 농사파종을 하며 풍년을 기원하는 것이었고 10월에는 수확의 기쁨을 나눴던 것입니다.

    즉 고대국가나 초기국가의 제천의식은 대체로 먹고사는 문제의 풍요를 기원한 것으로 보입니다. 농사나 수렵에는 날씨가 중요하니 하늘에 기원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영고는 부여가 아직 전국적인 지배조직을 갖추지 못하고 지방의 부족적인 자치력이 온존하고 있던 상황에서 비단 민속적인 행사로서 뿐만 아니라 정치적인 통합기능도 아울러 가지고 있었던 행사였다. 또한 형옥을 판결하고 죄수들을 풀어주었다는 것은 오늘날 국경일에 죄수들을 특사하는 것을 연상시킨다. 이러한 전통은 오늘날까지도 행해지고 있는 동제(洞祭)와 그 시기나 내용·성격 등에서 유사점이 많이 보존되고 있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하늘을 숭배하고 제사하는 의식을 지칭하는 용어로서

    부여의 영고, 고구려의 동맹, 동예의 무천, 삼한의 시월제 등이 있습니다.

    이런 제천의식은 추수감사제적인 성격을 띠고 있습니다.

    다만 부여의 영고만은 중국 은(殷)나라의 정월(12월)에 행해졌는데,

    이는 수렵 사뢰의 전통을 그대로 간직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직업적인 종교전문가가 이를 주관했던 것으로 알려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