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희망은좋은것이죠
희망은좋은것이죠22.12.20

깊은 바다 심해에는 생물체가 생존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심해에는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 있나요? 심해는 생존할 수 없는 환경이라 살 수가 없어서 생명체가 없을 것 같은데 과학적으로 생명체가 존재하나요?? 알려주세요! 과학전문가님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심해어들은 꽤 많습니다.

    심해로 내려갈 수록 높은 수압을 받기 때문에,

    심해에 사는 생물들은 바다 위쪽에 사는 생물과 다른 구조를 갖습니다.

    가장 큰 특징은 몸속에 빈 공간 대신 물을 채워넣어 외부의 압력과 균형을 이룹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심해 어류는 부레가 없습니다.

    그리고 고압에서 물질 전달이 원할하게 이루어 지도록 막 구조에 유연한 불포화지방을 다량 함유하고 있습니다.

    즉, 깊은 바다에 적절히 살기 위해 진화한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놀랍게도 생물체가 존재합니다. 심해의 압력과 어둠, 그리고 추위를 견뎌내고 번식하는 생물들이 많이 관측되고 있죠.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실제로 심해생물들이 존재합니다.

    수심 200m~11,000m의 깊이에서도 심해 생물들이 살고 있습니다.

    태양빛이 미치는 거리는 수심 150m이며 바다 속에서는

    365일 온도의 변화가 거의 없습니다.

    대부분 수온이 낮고 압력은 매우 높은 환경이며, 빛이 투과되지 못하는

    깊이에서 생물들이 살고 있으며 수압이 높다보니

    대부분 느린 속도로 헤엄치고 크기가 작은 편인 물고기가 많습니다.

    아예 눈이 퇴화되어 버린 종들이 많고, 생체 발광한 빛으로 먹이를 유인하기도 합니다.

    최그 내셔널지오그래픽에서도 4000~5000m 되는 극심해에 신종 바다생물이

    발견되었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생김은 대개 몸에서 빛을 내고 반딧물처럼 빛을 내며 푸르스름하거나

    희미한 빛을 내며 짙은 붉은색이나 검은색 계통의 물고기가 많았다고 합니다.

    과학이 발달하면 할수록 앞으로 그 궁금증은 더 많이 해결될거라 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심해에도 생물은 존재합니다.

    해당 환경에 맞춰 진화하였죠. 예를 들어 부례는 기체가 아닌 액체로 되어 있다거나, 또한 발광기관을 가지고 눈이 커지는 등으로 진화했죠.

    사람의 입장에선 생물체가 살 수 없는 환경이지만 그 생물의 입장에서 물 밖에서 생물이 살 수 있을까라고 의문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심해의 일부는 이미 탐험이 된 상태입니다. 극환경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미생물 및 생물체가 존재하고 있었습니다. 나름대로 그런 환경에 적응하고 진화하였던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