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의 위는 4개가 있다고 하는데 위가 여러개인 이유는?
소는 대표적인 초식 동물인데요 소의 위는 인간과 다르게
4개가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왜 위가 여러개인 동물로 진화하게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각각의 위는 어떤 역할을 하나요?
소의 위가 네 개로 나뉘어진 이유는 섬유질이 많은 풀을 효과적으로 소화하기 위해서입니다. 소는 풀을 삼킨 후 여러 번 되새김질하며 소화 과정을 거치는데, 각 위는 이 과정에 맞춰 특화된 역할을 합니다. 첫 번째 위인 반추위는 삼킨 풀을 저장하고 미생물에 의해 발효시키는 장소입니다. 두 번째 벌집위에서는 발효된 먹이가 다시 입으로 올라와 되새김질됩니다. 세 번째 겹주름위는 수분을 흡수하여 음식물을 농축하는 역할을 하며, 마지막 네 번째 주름위는 사람의 위와 비슷하게 위산과 효소로 음식을 본격적으로 소화합니다. 네 개의 위가 유기적으로 작동하여 영양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진화한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소는 초식동물이어서 풀을 주식으로 섭취하는데요, 그런데 풀은 질기고 소의 위로 소화해 낼 수 없는 섬유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섬유질 때문에 소의 위가 4개입니다. 지구 위의 대표적인 반추 초식동물에 소, 산양, 사슴 등이 있는데요, 이들의 공통점은 풀을 먹고 위를 4개 가지고 되새김질을 하는 반추동물이라는 점입니다. 무리하게 욱여넣은 풀을 소화시키려면 다시 입속으로 끄집어 올려 씹어야만 했는데요, 반추(되새김질)는 이렇게 해서 시작된 것입니다. 씹으니까 침이 나오고, 이것이 식도가 변형된 공간으로 흘러들고, 이렇게 새로운 환경이 만들어지면서 여기에 알맞은 미생물이 번성하게 되었으며, 위가 아닌 식도가 변형된 거대한 공간이 반추와 발효를 거듭하는 새로운 생존수단이 된 것입니다. 이렇게 해서 소는 늘 발효된 풀을 소장에서 흡수할 수 있게 되었으며, 진짜 위에는 아주 강한 위산이 나오기 때문에 식도가 변형된 가짜 위인 반추위로 역류가 되지 않는 거름 필터가 필요했습니다. 반추미생물의 생존을 위한 안전장치로 3위가 만들어지게 된 것이며, 이렇게 반추동물은 4개의 위를 가짐으로써 거친 풀만 먹고도 큰 몸집을 유지하면서 지구 곳곳을 누빌 수 있게 된 것입니다. 대표적 반추동물인 소의 경우를 예로 들어보자면, 큰 소 반추위의 크기는 200ℓ 생풀 60kg 정도가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인데요, 반추미생물은 반추위액 ㎖당 7억 마리 정도가 살고 있고, 이들이 반추위 안으로 들어오는 거친 풀사료의 섬유질을 분해해서 소화·흡수되기 좋은 형태로 만들어 줍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소와같은 대표적인 초식동물은 질긴 식물섬유질을
소화시키기위해 여러개의 위를 가지고있습니다.
식물에는 셀룰로오스가 존재하여 이를 잘게 부술수있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첫번째위인 벌집위에서는 음식을 섭취해서담아두는 역할을하고
두번째위인 양각위는 효소와 미생물이 작용하면서 첫번쨰위에서넘어온
음식의 기초적인 분해가 이루어집니다.
세번째위인 주름위는 주로수분 흡수기능을하고, 네번째위는
비벼위는 소화가 진행되면서 영양소가 흡수됩니다.
오랜시간 위에 섬유질을 보관하며 이 셀룰로오스를 분해하는 미생물이 살기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게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