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사업화를 시작했나요?
우리나라는 옛날부터 석유와 석탄이 아닌 태양광 패널과 풍력터빈, 지열발전소와 파력장치를 만들어서 신재생에너지를 만들려고 노력했어요.
환경과 경제를 모두 살리기 위해서 새로 개발을 했죠.
그런데 우리나라 말고도 다른 나라도 신재생에너지로 개발을 할려고 노력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신재생 관련 에너지 도입이 늦고 비중이 낮은편입니다. 전세계적으로는 EU와 중국이 신재생 관련 발전 비중을 높이기 위해 노력학소 있고 미국의 경우 트럼프 정부이후 친환경 에너지 정책이 후퇴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에서는 바이든 정부 시절 인플레이션 감축법이라고 해서 신재생에너지에 상당한 규모의 투자와 세금 혜택을 부여했습니다. 텍사스 등지에 태양광이나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30%이상되고 있죠.
유럽의 경우도 독일은 태양광, 풍력 중심의 에너지 확보를 하고 있으며 이미 덴마크는 세계최고의 풍력 발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중국과 일본, 인도도 신재생에너지 전환을 위해 노력중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신재생에너지 사업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선진국(유럽 등)에서 시작된 사업입니다. 우리나라가 최초가 아닙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 말고도 다른 나라에서도 신재생에너지를 개발하려고 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우리나라 말고도 다른 선진국들 대부분이
신재생에너지에 사할을 걸고 있을 정도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신재생에너지 사업의 경우 21c에 접어들면서 관련내용이 시작되었으며 2004년 신재생에너지법을 제정하여 그 관련 법안을 마련했다고 보시면 됩니다. 또한 제도적인틀을 기반으로 하여 2012년부터 의무공급제를 시행하여 대규모 전력회사의 경우 에너지 공급량 중 신재생에너지를 일정 % 이상 생산을 강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은 비단 우리나라 뿐 아니라 유럽의 나라 들에게도 찾아볼 수 있는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