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고요한콰가191
고요한콰가19122.10.27

영국 경제위기 원인 과 문제점은?

영국에 나라빚이 많은 상황에서 정부 지출을 안줄이기로 결정했다는데

인플레이션을 부추기고 빚은 늘린다는 말이 맞나요?


나라빚이 많은데 정부 지출을 안줄이면 어떻게 되는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영국의 경우 현재 전세계가 유동성회수를 하고 있는 와중에 시중에 추가로 유동성을 투입한다고 하였기에 경제위기가 발생할 뻔 하였습니다.

    유동성을 회수하지 않은 경우 환율의 악화 및 투자자금의 유출로 인하여 국가 경제에 타격이 갈 수 밖에 없습니다.

    또한, 채권발행 시 이러한 상황에서 더 높은 금리를 납부하여야되기 때문에 국가의 재정에 더 큰 타격이 갈 수 밖에 없습니다.

    나라빚이 많지만 정부가 지출을 줄이지 않는 다면, 재무건전성이 악화되고 이에 따라 해외자금세력으로 부터 국가경제가 공격받을 수 있습니다. 현재 금융시장은 파생상품들이 만연하기 때문에 공매도를 강하게 하면서 환율 숏 혹은 풋 등으로 큰 수익을 챙길 수 있습니다.

    즉, 국가란 기업과 똑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재정상태가 안좋은 기업이 지출을 줄이지 않는다면 파산할 수 밖에 없는 것과 동일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0.28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나라에 빚이 많은데 재정지출을 계속한다면 국가부도의 상태로 내몰리지 않더라도 국가부채가지나치게 커지면 채권자들은 불안해지고 해당 국가의 국채매입을 꺼리게 됩니다. 만약 일반 금융기관들이 국채 매입을 거부한다면 정부의 차입은 통화 증발(增發)을 유발할 수밖에 없습니다. 정부가 통화를 증발하지 않으면서 추가의 자금을 조달하려면 세금을 더 걷어야 합니다. 통화 증발로 인플레이션을 겪거나 무거운 세금을 부담해야 하는 나라의 기업들은 자금을 조달할 때 신용도를 불리하게 평가받아 상대적으로 더 높은 금리를 적용받습니다. 자금조달이 부진한만큼 생산이 위축되고 고용도 감소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영국과 같은 경우 대규모 감세정책 등으로 인하여

    인플레이션을 촉발할 수 있는 등의 금융시장의 혼란을 야기한 것입니다.

    중앙정부에서 부채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지출을 줄이지 않는다면

    다음 세대에 국가채무의 엄청난 양으로 인하여 부채의 이자로 세금의

    상당수가 소요되며 일반 국민들에게 쓰이는 돈이 적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