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짓굳은박새256
짓굳은박새25624.01.09

625전쟁의 휴전 협정 체결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궁금합니다

우리 역사에서 6.25 전쟁은 북한의 남침으로 발발하게 되었는데 미국을 비롯한 유엔군의 참전으로 휴전을 할 수 있었는데 휴전협정 체결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알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소모적인 전투가 계속되는 가운데 소련의 제의로 정전 회 담이 시작되었습니다.(1951. 7.). 하지만 휴전선 설정과 포로 교환 방식 등을 둘러싸고 쉽사리 합의에 이르지 못하였습니다. 회담이 진행되는 가운데 38도선 부근에서는 치열한 공방전이 계속되어 인명 피해가 크게 늘어났습니다. 정전 회담이 무르익어 갈 무렵 대통령 이승만은 북한으로 돌아가지 않겠다는 반공 포로를 석방하여 방해했습다.(1953. 6. 18.). 이로 인해 다소 지연되었지만 회담이 시작된 지 2년여 만에 미국, 중국, 북한이 합으로 정전 협정이 체결되었습니다.

    정전 협정에서는 휴전선을 확정하고, 비무장 지대 설치, 군사 정전 위원회와 중립국 감시 위원단 설치 등을 규정하였으며, 포로 교환은 포로의 자유의사를 존중하기로 하였습니다.

    대통령 이승만은 북진 통일을 주장하며 정전 협정에 서명하 지 않았지만, 협정 내용을 준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엔군 측은 1950년 12월에 미국과 영국 사이에서 평화적 협정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으나 공산측의 반대로 유엔 총회에서 결실을 얻지는 못했는데 공산측에서는 1951년 6월 13일 모스크바에서 열린 회담에서 "38도선의 경계선을 복구하는 조건에서 휴익이 유익하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하고 이후 휴전협정을 성사시키기 위한 양측의 휴전 회담은 1951년 7월 10일부터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1953년 유엔 에서 인도가 한국전쟁의 휴전 협정 (armistice) 체결을 제안하였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