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공감왕
공감왕

주식할때 손절을 몇프로정도로 생각하고 투자 하시는가요?

주식할때 손절을 몇프로정도로 생각하고 투자 하시는가요? 가령 4%빠지면 손절이라고하나요 10%정도 깊게 물렸을때 손절을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위와 같은 손절의 기준은 개인마다 모두 다릅니다.

    개인에 따라서 10%, 20% 등 모두 다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저와 같은 경우에는 단기투자는 하지 않기에 손절 등을 하지 않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손절매는 주식 거래에서, 가격이 매입 가보다 하락했을 때 손해를 감수하고 파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손실제한율은 개인의 투자 성향과 리스크 허용 수준에 따라 다릅니다. 개인적으로는 보통 -3∼-5% 사이에서 결정합니다. 하지만 종목이나 시장 상황에 따라서 더 큰 손실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만의 기준을 세우고 철저히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단기적인 수익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투자가 필요하며, 일시적인 주가 변동에 일희일비하지 않는 자세 역시 요구됩니다.

  • 안녕하세요

    • 손절가는 기대수익에 따라 달라진다고 생각합니다 기대수익이 적다면 손절가는 그보다 더 적은 값으로

      설정을 해야 하기 때문에 기대수익율을 기준으로 그보다 좀 더 보수적으로 손절가를 설정해야지

      투자에 성공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또한 아무리 기대수익이 높다고 해도 손절가를 30%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은 영원히 물릴 수 있는

      시작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손절가 설정시 고민을 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 사람들마다 기준은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0% 정도를 손절매 기준으로 삼으며, 부자들은 벌 때는 많이 벌고, 잃을 때는 적게 잃는다는 특징을 지닌다는 것을 기억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공감왕님^^

    먼저 실제로 손절폭을 어떻게 잡는 지는 정답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각 자 어떤 스타일로 투자를 하는 지에 따라 개인의 특징에 맞추어 잡아야 합니다. 그리고 무엇이 나에게 가장 잘 올바른 손절%는 스스로 계속 경험을 쌓아나가면서 찾아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일반적으로 단기 트레이딩을 하시는 분들은 수익도 단기에 내야 하는 만큼 아주 높게 잡지 않기에, 반대로 손절폭도 넓게 잡는 편은 아닙니다. 하지만 장기투자를 하시는 분들은 긴 호흡으로 큰 프레임으로 계획을 세우기에 아래 손절라인도 작은 조정에도 흔들리지 않도록 크게 잡습니다.

    하지만 한가지 말씀 드리고 싶은 것은 리스크 관리의 관점에서 손실율에 따라 복구 시 얼마나 노력이 필요한 지 꼭 생각을 하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 5% 손실이 나면 복구하는데는 그 정도의 손실만 복구하면 됩니다. 하지만 10%이상 넘어가게 되면 복구할려면 더 큰 상승률이 필요 합니다. 극단적으로 50%손실이면 50%수익률이 필요한게 아니라 100% 수익이 나야 복구가 됩니다. 그만큼 복구에 필요한 원금이 줄어 들기 때문 입니다.

    이런 점 다각도로 생각해보시고 판단 해 보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 드립니다.

  • 손절선은 개인의 투자 성향과 투자 전략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보통 투자자들은 손절선을 5%에서 10% 정도로 설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주식이 10% 이상 하락했을 때 손절하는 전략을 채택하기도 합니다.

  • 주식 투자에서 손절의 기준은 자신의 투자 원칙에 따라야 합니다. 통상 5% 10% 이내 이겠지요.

    몇 년 전 투자 선배님들께서 투자를 시작할 때는 반드시 자기만의 투자 원칙을 먼저 세워놓고 하라든 말씀이 기억나네요.

  • 안녕하세요~

    손절 기준은 투자자마다, 투자 상품마다, 시장 상황마다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답변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손절 기준을 설정합니다.

    단기간에 수익을 목표로 하는 경우, 5% 이하의 손실에도 손절할 수 있습니다.

    장기간에 자산 형성을 목표로 하는 경우, 10% 이상의 손실까지 감수할 수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보통 중단기 트레이딩 하시는 분들은 10%내외로 기준을 잡고 하시는 것 같습니다. 다만, 저같은 경우는 미국 대형 우량주 위주로 적립식 분할매수를 하기 때문에 계속 보유하고 손절기준은 잡지 않고 있습니다. 이 방법이 개인적으로는 스트레스 안받고 수익률도 높일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저는 단타보다는 스윙위주거나 몇달 끌고 가는 방식의 투자라 분할매수 3번정도 하고 그후 -10프로면 일부 손절 -20프로에 전량 손절합니다 사람마다 손절 레벨은 틀리니 자기만의 매매방식을 찾으시면 될거 같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주식 투자에서 손절 기준은 개인마다 다르지만 보통 5-10% 정도 빠지면 손절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4% 정도 빠지면 손절하는 사람도 있고 10% 이상 빠졌을 때 손절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자신만의 손절 기준을 정하고 그 원칙을 지켜야 합니다.

  • 보통 주식할 때 사람마다 손절의 퍼센테이지를 다르게 측정하고 추가적으로 주식의 종류에 따라서 기준점을 다르게 잡습니다. 주식할 때 각 기업의 주가를 보고 변동폭에 대한 사전 조사가 필요합니다.

    많을 때는 10% 적을 때는 5%내에서 손절을 많이 합니다.

  • 질문해주신 주식할때 손절 퍼센티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각 투자자마다 손절을 생각하는 퍼센티지가 다르겠지만

    전 개인적으로 5%가 빠지면 손절을 생각하고 움직일 것입니다.